•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식도암·두경부암·췌장암 환자 73% 직간접 흡연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직접흡연 68.2% 간접흡연 5%, PET-CT 시행 환자 804명 분석

  •  

cnbnews 이수현기자 |  2018.05.30 18:30:30

▲세 가지 암 흡연비율 그래프 (사진제공=동남권원자력의학원)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PET-CT를 촬영한 식도암, 두경부암, 췌장암 환자 804명을 대상으로 흡연과 암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결과, 73.2%인 567명이 직접 또는 간접 흡연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동남권원자력의학원 핵의학과양승오 주임과장은 식도암과 두경부암, 췌장암 판정을 받은 804명을 대상으로 검사 전 면담, 전화 및 설문조사, 의무기록 조사 등을 실시한 결과, 68.2%에 해당하는 525명(남자 506명, 여자 10명)이 직접 흡연자였으며, 간접 흡연자는 5%인 42명(남자 1명, 여자 41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직접 흡연자의 경우, 암 진단 당시 평균 나이는 64.5세로 평균 흡연력은 32.2갑년(Pack-year-smoking, 1년 동안 하루 한 갑 씩 담배를 피웠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담배 소비량)이었다. 직간접 흡연 경험이 없는 환자는 26.9%인 237명(남자 87명, 여자 150명)이다.

암 종별로는 식도암의 경우 직접 흡연자가 84%로 가장 많았고, 두경부암은 68%, 췌장암은 52%로 나타났다. 췌장암의 비흡연자 비율이 41.4%로 흡연과의 연관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는 흡연과 췌장암의 연관성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종류의 암 모두에서 흡연력은 나이가 높아질수록 소폭 증가했다.

양승오 핵의학과 주임과장은 "2014년에 PET-CT를 촬영한 폐암 환자 6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85%의 폐암 환자들이 직간접 흡연자(74.4% 직접 흡연자, 10.8% 간접흡연자)인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식도암과 두경부암, 췌장암의 발생과 흡연의 관련성을 파악했고, 흡연이 폐암을 비롯한 각종 암의 원인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흡연이 회피(예방) 가능한 암의 대표적인 원인으로 재차 확인돼, 금연정책의 중요성과 직간접 흡연의 위험성에 대하여 사회적인 인식이 더욱 강화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편, 현재까지 학계에서는 폐암, 식도암, 췌장암, 후두암, 위암, 대장암, 간암, 신장암, 자궁경부암 등 최소 19종류의 암 발생이 흡연과 관련이 있다고 인정된 바 있다. 세계적으로 흡연과 관련된 암은 전체 암의 30% 정도이며, 한해 500만 명이 흡연으로 사망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