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합천군, 가공밥용 ‘미호’ 벼 재배 현장연시회 개최

일년 내내 밥맛 좋은 ‘미호’

  •  

cnbnews 최순경기자 |  2019.10.15 15:16:25

(사진=합천군 제공) 미호 벼 현장연시회

합천군(군수 문준희)은 아밀로스 함량 조절을 통해 식미를 높인 ‘미호’ 벼 보급 확대를 위하여

15일 용주면 평산마을 ‘미호’ 벼 재배포장에서 관계 공무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현장 연시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시회는 국립식량과학원과 합천군농업기술센터가 합천호농협 ‘미호’ 벼 재배단지의 생육상황을 살펴보고, 식미평가 등을 통하여 지역 브랜드미 정착 및 확대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자리로 농가 만족도가 높았다.

‘미호’는 영남지역의 고품질 벼 재배에 불리한 환경에 대응하고, 특히 고온과 다습한 환경에 따라 식미가 급격히 떨어지는 봄철 이후에도 찰기 및 윤기 등이 우수한 품종으로서 장마철 이후 유통 활용성이 큰 전략적 품종이다.


‘미호’는 아밀로스 함량 11.2%로 멥쌀에 찰벼를 섞은 것처럼 밥 지은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해도(식은밥 및 보온밥) 밥알의 찰성, 경도 및 윤기 등 품질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는 식미가 우수한 품종이다.


또한 ‘미호’의 가공밥 특성은 밥 지은 후 일정 시간 동안 상온 및 저온에서 유통되는 김밥 및 초밥 등 즉석 가공밥 용으로도 활용도가 높고, 특히 식미가 떨어지는 봄철 이후 취반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미호’는 2016년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했으며, 10a당 평균 쌀 수량은 565kg으로 도복(벼 쓰러짐) 및 내병성 등 재배 안정성이 높은 품종이다.


‘미호’는 벼 키가 작아 잘 쓰러지지 않고, 도열병에 중도 저항성을 보이고, 흰잎마름병(K1~K3)과 줄무늬잎마름병에 강하며, 도정률이 높고 쌀알은 아주 약한 회색으로 불투명한 편이다.


재배 시 유의점은 중부 및 영․호남 평야지 7개 지역에서 출수기가 8월 21일로 안전한 고품질 벼 수확을 위해서는 이앙 시기를 조금 앞당기는 것이 좋고, 출수 지연이 우려되는 다비 및 냉수 용출답 재배는 피하여야 한다.

합천군농업기술센터 손영진 소장은 “최근 급격한 쌀 소비 감소에 따른 대응으로 전통 밥쌀 문화에서 벗어나 도시락 등 간편식 쌀 소비문화에 대한 관심과 역량이 필요한 시기로서, 농업인․산업체․소비자 모두가 경제적 이익 공유를 통한 건강한 쌀 소비문화가 활성화 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