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은 대학 내 우수창업기업 지원을 위해 5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인 KAIST, GIST, DGIST, UNIST, POSTECH과 10일 신용보증기금 본점에서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내 우수 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와 고급인력의 혁신창업 지원을 통해 과학기술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신보와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은 ▲대학 내 우수기술보유 창업기업 추천 ▲추천기업에 대한 금융·비금융 지원 ▲대학별 창업상담회 개최 등 창업 활성화를 위한 상호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신보는 전담지원 프로그램인 'Campus Start-up 보증'을 통해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추천한 우수창업기업에 대해 연대보증인 없이 최고 60억 원의 신용보증 및 투자, 컨설팅 등 금융·비금융서비스를 지원하고, 5년간 보증료 0.3%p 차감 및 보증비율 90% 우대 적용, 신용조사수수료 면제 등의 혜택도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대학별 창업붐 조성을 위해 작년 5월 'Campus Start-up 프로젝트'를 출범해 40개 창업선도대학 및 서울대, 고려대와 협약을 맺고 대학 내 우수창업기업 130개에 642억 원의 보증을 지원했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지원 규모는 더욱 확대될 예정이다.
국내 과학기술의 산실이라 할 수 있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은 교육, 연구중심에서 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창출을 선도하는 '창업중심대학'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여, 기술창업프로그램 신설·확대,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도입, 창업형 인프라 구축 등 기술창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창업중심대학으로 거듭나고 있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국내 최고 창업기업 종합지원기관인 신보의 협업은 대학 내 혁신창업 열기 확산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ST 신성철 총장을 비롯한 5개 대학 총장은 "신보의 금융지원 프로그램으로 대학 내 창업 도전의 가장 큰 애로사항을 해결할 수 있게 됐다"라며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 명실상부한 '창업중심대학'이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말했다.
황록 이사장은 "이번 협약으로 대학 내 우수기술이 혁신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라며 "혁신창업 활성화를 통한 경제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