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해양대 박한일 총장(왼쪽)과 부산시 김영환 경제부시장(오른쪽)이 미래해양드론산업 육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미래 해양드론산업 육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한국해양대와 '미래해양드론사업육성'에 관한 업무협약을 28일 체결했다.
항공·ICT·SW·센서 등 첨단기술 융합산업인 드론(drone·무인기)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산업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부산은 4차 산업 신기술과 드론 간 융합으로 기존산업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이날 협약식은 김영환 경제부시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의 주요 내용으로 먼저 해양대는 시가 유치한 '무인비행장치 활용 신산업분야의 안전성 검증' 시범사업 및 시의 드론사업에 적극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국토부에서 추진하는 드론 전용비행시험장 유치를 위해 부지 무상제공 등 필요한 제반 사항을 지원하며, 해양대 내의 조성 공역을 활용한 각종 정부 드론 R&D 사업 및 전용비행시험장을 유치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해양대는 부산의 드론 교육센터, 권역별 조종 실기시험장 병행 활용 등 드론 산업 핵심 실증단지 거점화를 지원하게 된다.
또한 시와 해양대는 부산 해양드론산업 기술혁신 분야 발굴 및 육성발전을 위해 상호 노력을 하기로 했다.
이번 사업에 앞서 시는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 대상지로 선정(3개소)됐으며, 부지 확보 가능성, 여건 변화, 예산 확보 등을 고려해 국토부로부터 `18년 사업비 100억 원을 확보(2개소 선정)한 바 있다.
이 밖에도 시는 내년에는 5개 참여기관(부산대·신라대·한국해양대·대한항공·산업기술시험원)의 과업 내용을 더욱 확대함에 따라 실증사업의 내실화를 기할 예정이다.
특히 16개 기초지자체 공공분야 실증사업 신규 사업 추진을 통한 드론산업 저변 확대 및 활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한편 올 한 해에만 부산시는 무인비행장치 전문인력 양성 계획을 추진하고, IoT 기반 해양도시관리용 무인비행장치 구축 사업을 진행했다.
또한 2017 드론쇼 코리아를 개최하고 드론 기업지원허브를 개소하는 등 드론 산업 육성에 힘을 쏟으며 드론 관련 기업을 지원하는 허브도시로 나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