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와 한국공항공사는 오는 21일 김해국제공항이 개항 후 최초로 연간 여객 1600만 명을 달성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지난 `14년 연간 여객 1000만 명을 달성한 김해공항은 매년 100~200만 명 가량의 새로운 여객 수요를 창출하며 4년 연속으로 최대 여객 신기록을 경신해 왔다.
김해공항이 연간 여객 1600만 명을 달성함에 따라 국제공항협의회(ACI) 공항 분류기준에 따라 중규모 공항으로 도약하게 됐다.
이는 김해공항이 연간 여객처리실적에서 국내의 인천, 김포, 제주공항과 함께 국내 4대공항으로서 공항의 규모와 위상이 한층 더 커지게 됐음을 의미한다.
ACI 공항분류에 따르면 여객 실적 1500만 명 이하는 소형공항, 1500만~2500만 명 중형공항, 2500만~4000만 명이면 대형공항으로 분류된다.
김해공항은 `14년부터 국제선 여객이 국내선을 넘어섰으며, 국제선 중심으로 공항 기능이 전환된 이후에는 인천공항 다음으로 국제선 여객처리실적이 많은 국내 제2의 관문공항으로서 기능했다.
이에 따라 김해공항의 국제선 여객증가세가 전체 여객 증가를 견인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올해에는 중국의 금한령 조치로 타 공항의 여객증가세가 주춤한 상황에서도 주요 공항 중 유일하게 10% 이상의 여객증가세를 기록하며 고공행진 중이다.
김해공항의 여객 증가는 지난해 영남권 신공항 입지평가의 정부 예측치보다 훨씬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작년 발표된 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ADPi)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1600만 여객 달성시점은 2020년경으로 예측됐으나, 실제로는 이를 3년이나 앞당겼다.
현재의 증가세가 지속된다면 2030년경으로 예측된 2000만 명 달성 시점도 정부 예측보다 10년 정도 앞서 달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시 관계자는 "김해공항의 여객수가 정부 예측보다 빠르게 증가되고 있으므로 현재 추진 중인 정부의 신공항 건설 절차가 한치의 흔들림 없이 추진돼야 하며, 정부가 발표한 목표 연도(2026년)보다 하루라도 빨리 김해신공항 개항이 필요하다는 현실을 반증하는 결과다"며 "올해 6월에 준공된 국제선 청사 수용능력(630만 명)을 이미 초과하며 갈수록 공항 서비스 수준 저하가 우려스러운 현실을 정부에 적극적으로 건의해 신공항 개항 전에도 적정한 공항시설이 확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부산시와 한국공항공사 부산지역본부는 오는 21일 오후 2시에 연간 여객 1600만 명 달성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1600만 번째 기념승객에게 기념품 증정, 공항 관계기관들이 함께하는 테이프커팅 등의 부대 행사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