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북도, 농식품가공산업육성사업 성과 가시화

지원 전 대비 제품생산량 52.7% 상승, 매출액 60.3% 상승

  •  

cnbnews 김희정기자 |  2014.10.08 16:40:03

▲지난 8월 캐나다 토론토 갤러리아마켓 2개 매장에서 열린 ‘경북 우수 농·식품 홍보판촉행사’ 모습.(사진/경상북도 제공)

경상북도의 ‘농식품가공산업육성사업’이 농촌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2007년 시작한 농식품가공산업육성사업의 성과로 지원 전 대비 제품생산량 52.7%, 매출액은 60.3%가 증가해 제품생산량 78만2000톤, 매출액 2754억원을 기록했다.

농식품가공업체의 지원성과를 살펴보면, 생산제품별 지원업체는 전통주 27개소, 쌀면·쌀떡류가 15개소 등 쌀가공업체 54개소로 전체 132개소 대비 41%를 차지, 쌀 소비확대 및 쌀가격 안정 도모에 기여하고 있다.

지원된 농식품 가공업체의 연간 수출액은 1442만5000불로 주 수출분야는 김치류가 798만1000여불로 전체 수출액의 40.4%로 차지, 그 다음이 인삼제품 231만7000불이다.

또 가공업체의 총 고용인원은 2079명으로 업체별 평균 고용인원은 20.6명이다. 2012년 한국은행 산업별 취업유발계수(음식료품 18.7명, 기타 제조업 13.3 금속 7.4)와 비교했을 때 훨씬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다 고용업체는 싱그람영농조합법인이 148명으로 수작업이 많은 업종(김치, 인삼제품 등)에서 인력고용이 많고 가공 기술의 전문성을 많이 필요로하는 작업일수록 고용 유발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무엇보다 지역 농식품가공업체들과 지역 농업간의 계약재배 등을 통한 안정적인 원료 수급과 대형 유통마켓, 단체급식, 위탁생산 등 유통라인을 다양화했기 때문이다.

앞으로도, 경북도는 농식품가공산업 육성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관련 사업 시설현대화 및 각종 박람회 참석 지원 등을 통한 식품산업을 더욱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주요 수출국이 일본, 미국, 중국으로 한정돼 있어 중동, 호주, 유럽 등 다각적인 방면으로 수출촉진활동을 펼쳐 시장을 확대할 방침이다.

최웅 도 농수산국장 “앞으로 농식품산업은 쇠퇴해가는 사양산업이 아니라 첨단 생명산업,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재탄생돼 지역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며 “신제품개발, R&D활성화 등 지역 농업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식품산업 육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북=김희정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