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적발한 위해식품이 제대로 회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김치류와 수산식품류 등 유통기한이 짧은 식품이 많아 신속한 회수가 요구된다.
보건복지위원회 김기선 국회의원(새누리당. 원주갑)은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정감사에서 2013 회계연도 검토보고서를 보고한 결과 위해식품 회수율이 29.3%에 그치는 등 최근 3년간 위해식품 회수율은 평균 33%로 나타나 회수율 제고 방안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최근 3년간 위해식품 건수는 2011년 274건, 2012년 297건, 2013년 316건으로 꾸준히 증가하며 총 887건이나 됐지만, 총 생산량 4175t 중 회수폐기량은 1524t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평균 회수율은 33.8%에 그쳤다.
특히 2013년 위해식품 회수율은 29.3%로, 이는 2012년에 비해 오히려 9.2%가 감소했다.
더 큰 문제는 현재 회수율이 생산량(출고량) 대비 회수폐기량으로 집계되고 있어, 유통기한이 짧거나 소비가 빠른 식품의 경우 현실적으로 출고량을 모두 회수하기 어려운 상태라는 점이다.
실제로 전체 회수건수의 절반 이상을 김치류, 수산식품류 등 대체로 10일 이내, 길게는 2개월 내 단기간에 소비되는 식품이 차지하고 있다.
김기선 의원은 "회수율 제고를 위해서 추적관리가 어려운 수입식품, 영세업체 제품에 대한 유통판매 구조의 개선이 시급해 보인다"면서 "회수율을 유통량 대비 회수폐기량으로 측정하는 것을 검토하는 한편 보다 실질적인 회수율 제고 방안을 마련하는 등 지표 개선에 노력을 해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이력추적관리제도는 작년 말 기준, 식품제조, 기타 식품판매업소 3만3000여개 중 65개 업체(0.19%), 약 130만개 품목 중 586개 품목(0.045%)만 등록돼 있어 참여율이 저조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