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트럼프, 北 김정은과 만나나? 정동영 통일부장관 입에 쏠린 눈

  •  

cnbnews 심원섭기자 |  2025.10.16 10:40:59

정동영 “트럼프 결심하면 APEC 계기로 김정은과 북미회담 가능성”

“장소는 판문점 예측…성사될 경우, 李대통령 동행않는 게 바람직”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지난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통일부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결심한다면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전망했다.

정 장관은 15일 오후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해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만나게 된다면 장소는 판문점의 북측인 판문각이 될 가능성이 크다”면서 “백악관의 ‘조건 없는 대화’ 의사 표명과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밝힌 연내 김 위원장과의 만남 희망, 김 위원장의 지난달 최고인민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비핵화 의제를 배제한 만남 용의 발언 등 이후 대미 메시지 관리 등 공개된 자료와 정보, 포착된 징후들을 근거로 볼 때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특히 정 장관은 과거 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마지막으로 보낸 서한에서 한미 연합연습에 불만을 표출했던 점을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그 문제(한미 연합연습)를 논의하자고 하면서 어떤 제안을 하느냐에 따라 (북미 정상회담) 성사 여부가 결정된다”고 추측했다.

그리고 정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한반도의 평화·안정에 대해 현상을 변경할 의지와 능력을 가진 유일한 美대통령”이라고 추겨세우면서 “김 위원장도 트럼프 대통령과의 시기를 놓치면 기회가 없다고 생각해야 한다”며 대화를 촉구했다.

또한 정 장관은 “지난 2019년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열린 북미 정상 회동에 동행했으나 모양이 썩 좋지는 않았다”면서 “따라서 이번에 판문점 북측에서 북미 정상회담이 열린다면 남쪽을 상대하지 않겠다는 김 위원장의 태도가 강경하기 때문에 이 대통령은 동행하지 않는 게 맞지 않는가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정 장관은 이른바 ‘통미봉남’(미국과는 외교 관계와 대화‧협상을 지속하면서 한국 정부의 참여는 봉쇄하는 북한의 외교 전략) 우려에 대해 “원포인트(one-point) 통미봉남은 받을 수 있다”면서 “통미봉남 역사를 보면 진보 정부에서는 없었지만 보수 정부에서 일어난 일로, 이재명 정부에서는 걱정 안 해도 된다”고 단언했다.

아울러 정 장관은 ‘북한이 요구하는 대로 비핵화 의제를 배제하고 협상을 진행한다면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하게 되는 꼴’이라는 진행자의 지적에 “북한은 한반도비핵화공동선언에 기재된 핵실험, 제조, 생산, 보유, 반입 등 8단계 핵 활동 중에 반입을 빼고 다 했다는 것이 현실”이라고 답변하면서 “정부의 입장은 목표로서 비핵화를 유지하자는 것으로 우선 핵능력이 계속 늘어나는 것을 중단시키면서 비핵화 입구로 들어가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정 장관은 최근 북한에 대해 ‘미국을 타격 가능한 3대 국가’라는 언급으로 논란이 된 것과 관련해 “재진입 기술이나 유도 기술 문제가 아니라 거리 얘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갖는 정치적 메시지를 말한 것”이었다고 설명하면서도 “미국은 북한을 걱정한다. 운반수단을 완성했다”고 거듭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앞서 정 장관은 전날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통일부 국정감사에서도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을 묻는 질의에 “가능성이 있다”면서 “공개된 자료와 정보를 분석해 볼 때 이미 북미 양측 정상이 준비된 상태로 보이며 북-미 정상회담이 이뤄진다면 그 장소는 판문점 북측 지역인 판문각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 장관은 “특히 김 위원장은 지난 9월22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40% 넘는 분량을 대미·대남 관계에 할애했다. 핵심은 트럼프 대통령과 좋은 추억을 갖고 있다는 것”이라며 “그리고 평화공존을 주제로 얘기한다면 만날 생각이 있다는 것이 핵심이어서 결국 열쇠는 트럼프 대통령 결심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CNB뉴스=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