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부터 '청와대 관람' 전면 중단
3년여 만에 VIP 용산 시대 막내려
국무회의서 복귀예비비 259억 의결
靑관람 재개 여부는 개보수 후 결정
대통령실의 청와대 복귀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현재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이재명 대통령의 집무실을 청와대로 이전하기 위해 청와대 일반 관람이 오늘(1일)부터 전면 중단됐다. 지난 2022년 5월 10일 윤석열 정부가 민간에 개방한 지 약 3년 2개월 만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2년 5월 취임하면서 용산에 새 대통령실을 마련했고 2025년 4월 헌재에서 탄핵 결정이 인용될 때까지 약 3년간 용산 집무실을 사용했다.
사실상 3년여 만에 용산 시대가 막을 내리게 된 것이다.
청와대는 1일부터 종합적인 보안·안전 점검을 비롯한 시설물 개·보수에 들어간다. 이 대통령은 개보수가 끝나면 올해 안에 청와대로 복귀할 계획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대선 후보 시절부터 청와대 복귀 의사를 밝혔으나 취임 직후에는 조기 대선으로 인한 급박한 일정 탓에 용산 대통령실에서 업무를 시작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은 “청와대는 상징성과 문화적 가치가 있는 공간으로, 사용을 꺼릴 이유가 없다”면서 “특히 용산 대통령실은 도청·경호 등 보안상 취약하고 아파트 숲에 둘러싸여 있어 우선 청와대로 복귀한 뒤, 중장기적으로는 세종시로 수도를 이전하겠다”는 뜻을 수 차례 밝혔다.
이를 위해 앞서 대통령실은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청와대 복귀를 위한 예비비 259억 원을 의결한 바 있다. 이는 지난 2022년 윤석열 정부의 대통령실 용산 이전에 든 예비비 378억 원과 비교하면 119억 원(69%)을 줄인 비용이며, 정부는 연내 청와대의 관련 작업을 마무리한 뒤 대통령의 복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1948년 8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이승만 대통령부터 문재인 대통령까지 70여년 간 대통령이 머물던 곳으로. 정부 수립 초기에는 ‘경무대’라고 불렸지만 4대 윤보선 전 대통령이 ‘청와대’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특히 노태우 전 대통령이 본관과 관저, 프레스센터인 춘추관을 신축하면서 지난 1991년 오늘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그리고 김영삼 전 대통령은 1993년 취임 후 일제강점기에 북악산의 정기가 이어지는 능선을 끊기 위해 해당 건물이 지어졌다는 풍수적 해석에 따라 구(舊)청와대 본관을 철거한 이후 청와대 앞길과 인왕산을 시민들에게 개방하기도 했다.
그러다가 윤석열 전 대통령은 대통령 집무실 및 비서실을 용산구로 이전하면서 2022년 5월10일 청와대를 민간에 전면 개방했다.
이후 약 3년 2개월간 관람객은 7월말 기준 총 852만130명에 이른다. 일반 관람 마지막 날인 7월31일에도 청와대는 가족 단위 방문객들로 붐볐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 대통령 복귀가 가시화되면서 지난 7월 16일부터 실내 관람은 제한됐고, 영빈관·본관 앞·구본관터·녹지원 등 외부 동선만 개방됐고 관람 인원도 회차당 200명, 하루 최대 2000명으로 제한됐다.
오늘(1일)부터는 본관과 관저를 포함한 전 구역의 일반 관람이 전면 중단됐으며, 청와대의 관람 재개 여부는 불투명하다.
정부는 올해 말까지 보안점검과 일부 시설의 개보수를 마친 뒤 일부라도 개방해 관람을 재개할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최근 청와대 관리와 활용을 위해 ‘청와대재단’을 산하 조직으로 신설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최휘영 장관은 인사청문회 서면 답변에서 “대통령 집무실의 성공적인 복귀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며 “역대 정부에서도 대국민 소통의 장으로서 역할 수행을 위해 청와대를 다양한 방식으로 개방해 온 것으로 안다. 새 정부에서도 국민과 함께 호흡하는 청와대 역할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