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향소 이전·복구 현황 공개·여수·광주공항 국제선 추진 입장 요구 잇따라
무안국제공항 재개항이 장기 표류하면서 지역사회가 전라남도를 향해 강력한 정상화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무안국제공항활성화추진위원회, 무안국제공항정상화협의체, 무안군 사회단체, 광주·전남 여행업계는 26일 공동 성명을 통해 “무안국제공항의 조속한 개항은 서남권 주민의 생존권이자 도민의 기본 권리”라며 “전라남도가 더 이상 책임을 회피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5년 동계 정기편(2025년 10월~2026년 3월)에서 무안국제공항이 제외되면서 서남권 항공 접근성은 사실상 내년 3월까지 중단된다. 지난해 12월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이후 공항 폐쇄가 11개월째 이어지면서 지역경제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단체들은 우선 공항 내부에 설치된 분향소의 장기 존치에 대해 “추모권은 존중하되, 공항 내부 점유 지속은 재개항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지적하며 전라남도에 조속한 이전 조치를 요구했다.
또 공항 복구공사와 재개항 일정 공개가 이뤄지지 않는 점을 두고 “공정률, 설계변경, 예산 집행 내역 등 핵심 정보가 감춰져 있다”며 “도민이 참여하는 정상화 점검협의체를 즉시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라남도가 최근 여수공항 활주로 연장과 2026 여수세계섬박람회 기간 국제선 한시 운항을 국토부에 건의한 사실이 알려진 것에 대해서도 강한 우려를 표했다.
단체들은 “여수공항은 안전성 제약이 큰 공항”이라며 “무안공항이 멈춰 있는 상황에서 여수공항을 대안처럼 추진하는 것은 서남권에 대한 배신”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광주광역시가 국토부에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 취항 재신청을 한 데 대해 “전남도가 침묵한다면 무안국제공항의 기능은 사실상 사라지게 된다”며 명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단체들은 “무안국제공항은 단순한 시설이 아니라 지역균형발전의 상징이며 서남권 주민의 생명선”이라고 강조하며 “전라남도는 국토부에 재개항 일정과 복구 절차 등이 담긴 ‘정상화 로드맵’을 적극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끝으로 단체들은 “우리는 재개항 그날까지 모든 과정을 지켜보며 행동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