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위기가구 종합지원 대책’에 따라 지역 내 일상생활 속 위기를 감지할 수 있는 전기·가스·상수도의 2개월 이상 연체정보를 제공받아 그중 두 가지 이상 연체된 가구에 대해 내년 1월 말까지 일제 조사를 실시한다.
시는 9월에 ‘대구시 위기가구 종합지원 대책’을 발표하고 10월에 한국전력 대구본부, 대성에너지(주), 상수도사업본부와 지역 내 추출할 수 있는 연체정보활용으로 더 빨리 위기가구를 찾아낼 수 있는 ‘위기정보 빅데이터 공동활용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본 협약에 따라 지난 10월 말 기준 공공요금 2개월 이상 연체정보 6만3743건(전기 3만1932, 가스 2만9180, 수도 3181)을 제공받아 빅데이터과와 협력해 위치와 건물 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 결합을 통해 2가지 이상 중복 연체된 복지위기 의심가구 3050가구를 발굴했다.
발굴된 3050가구는 달서구 781가구(25.6%), 남구 495가구(16.2%), 동구 437가구(14.3%)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3가지 모두 연체돼 위험도가 가장 높은 가구도 60가구에 이르러 신속한 조사를 실시 중이다.
이번 지역특화형 위기 정보를 활용한 복지 위기가구 발굴사업은 전국 최초로 지역의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 제공 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복지부보다 최대 5개월은 더 빨리 연체정보를 제공받는다.
특히 생계 곤란으로 인한 단전·단수·단가스 위기에 놓인 취약계층을 초기 연체 단계에서 더 신속히 발견하고 지원하는 데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한다.
시는 매월 전기, 가스, 수도 요금이 연체된 가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빅데이터과와 협력해 복지 위기 신호를 신속히 발견하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신속히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정의관 대구시 복지국장은 “대구시의 위기가구 종합지원 대책에 따라 지역특화형 위기정보 입수체계를 구축함으로 복지위기 의심가구를 더 빨리 찾아내고 더 두텁게 보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생계가 곤란한 시민께서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번으로 도움을 요청하시기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