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차기 총선 ‘여당이 승리해야’ 41.4% vs ‘야당이 승리해야’ 52.0%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

  •  

cnbnews 심원섭기자 |  2022.12.23 10:25:08

(자료제공=한국갤럽)

오는 2024년에 치러질 22대 총선에 대해 국민의 절반 이상이 ‘정권 견제론’을 택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디지털타임스> 의뢰로 지난 19~20일에 오는 2024년 총선 결과의 의미에 대해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답변이 52.0%였던 반면,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답변은 41.4%, 모름·응답거절 6.7%로 집계됐다.

이 같은 여론조사 결과는 23일 발표됐다.

한국갤럽의 12월 1주차 자체조사(11월 29일~12월 1일)와 비교하면 ‘야당 승리(정권 견제론)’ 답변은 3.0%p 상승했고 ‘여당 승리(국정 안정론)’ 답변도 5.4%p 올랐다. ‘정권 견제론’이 높은 이유는 윤석열 대통령 국정에 대한 부정 평가와 연동된 것으로 보이지만 ‘국정 안정론’이 20여일 만에 상승한 것은 최근 윤 대통령 지지율 상승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성(‘여당 당선’ 44.0% vs ‘야당 당선’ 48.7%)에선 ‘정권 견제론’과 ‘국정 안정론’이 오차범위 내에서 경합했으나, 여성(38.8% vs 55.2%)에서는 ‘정권 견제론’이 높아 여성 유권자층에서의 윤석열 정부에 반감이 남성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령별로로는 18~20대(‘여당 승리’ 29.5% vs ‘야당 승리’ 59.4%), 30대(29.0% vs 65.6%), 40대(23.3% vs 69.4%), 50대(36.3% vs 57.6%) 등에서는 ‘정권 견제론’이 ‘국정 지원론’ 보다 우세한 반면, 보수성향이 60대 이상(68.0% vs 27.1%)에서는 ‘국정 안정론’이 우세했다.

또한 지역별로는 서울(‘여당 승리’ 45.9% vs ‘야당 승리’ 48.6%)과 부산·울산·경남(46.5% vs 46.2%)에서는 양쪽 의견이 경합했고 인천·경기(41.3% vs 52.3%), 충청권(39.5% vs 56.4%), 호남권(16.8% vs 74.0%)에서는 ‘정권 견제론’이 우세한 반면, 대구·경북(57.4% vs 34.3%)에서는 ‘국정 안정론’이 우세했다.

국민의힘 지지층(‘여당 승리’ 87.6% vs ‘야당 승리’ 8.4%)에서는 ‘국정 안정론’이 압도적으로 높았던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층(6.3% vs 90.5%)은 ‘정권 견제론’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또한 보수층(71.6% vs 22.7%)은 ‘국정 안정론’이, 진보층(12.7% vs 84.5%)은 ‘정권 견제론’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19일~20일 이틀 동안 무선전화 가상번호(100%)로 표본추출한 1005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방식으로 진행해 응답률은 11.5%이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조사개요는 한국갤럽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CNB뉴스=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