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12.21 16:47:21
부산지역 시민단체 조사 결과, 부산시의 토목직 공무원은 923명, 건축직은 472명인 것에 비해 도시계획직은 단 10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해당 직렬 채용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부산경실련)은 앞서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3년간 공무원 시설직 채용 현원 및 계획인원’ 현황 자료를 21일 발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부산시 도시계획직렬의 인원은 총 10명으로 최근 3년간 3명이 채용됐다. 문제는 이 3명도 지난해에 채용된 인사들로 올해에는 도시계획직 인력 채용이 전무한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비해 경기도는 최근 3년간 매년 도시계획직을 채용해 75명을 채용한 것으로 나타나 부산시와 대조를 이루고 있다. 같은 영남지역 광역시인 대구시도 올해 도시계획직 인력 6명을 채용하며 최근 3년간 9명을 채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시의 경우 전체 시설직 공무원 총 1630명 가운데 일반토목직은 923명으로 절반 이상인 56.6%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어 건축직 472명으로 28.9%, 지적직 222명 13.6%인 반면 도시계획직은 10명으로 전체의 0.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부산경실련은 보도자료를 통해 “도시계획직의 충원은 부산 미래 발전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인프라다. 사람이 있어야 제대로 된 도시행정이 펼쳐질 수 있기 때문”이라며 “시는 시대 변화에 맞게 7급과 9급 도시계획직 공무원 채용을 매년 시행해야 한다. 또 현재 부산시 총괄건축가 제도처럼 ‘총괄도시계획가(가칭)’를 채용해 도시계획을 제대로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부산경실련 관계자는 “민선 7기 부산시는 16개 구·군에 ‘도시관리계획 상임기획단’을 만들겠다고 공약을 했으나 아직 상임기획단 구성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향후 도시계획 인력 확충을 통해 ‘소수의 이익을 위한 난개발’이란 오명을 뒤집어쓴 도시가 아닌 시민 전체의 삶이 풍요로워지고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도시가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