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가 안전사고 없는 부산항을 조성하기 위해 항만 특성에 맞춘 ‘부산항 안전기준 매뉴얼’을 최근 제정해 배포했다고 4일 발표했다.
이번에 제정한 안전기준 매뉴얼은 BPA가 부산항 특성에 맞는 공통 안전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한 것이다. BPA는 관련 업체별 업무 특성에 맞게 안전기준을 반영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체계화했다고 설명했다.
매뉴얼의 세부 내용은 ‘부산항 10대 안전수칙’을 시작으로 ▲총칙 ▲안전보건관리체제 ▲담당·장비·작업·화물별 안전수칙 ▲항만 운송 관련사업 안전수칙 ▲비상대응 절차 등이 담겼다.
향후 BPA는 이번에 제정한 매뉴얼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 수준 평가’를 추진하고 우수 사업장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현장에 잘 적용될 수 있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위험성 평가’ ‘현장 점검’ ‘아차사고 기록관리’ ‘안전수칙 위반자 관리’ 등 항만 관련 사업장의 안전수준을 높이기 위한 ‘부산항 재난안전 시스템 구축’ 활동도 이어갈 방침이다.
남기찬 BPA 사장은 “이번 부산항 안전기준 매뉴얼이 항만 관계기관과 업·단체의 체계적인 안전관리 및 안전수준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우리 공사는 항만 근로자가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부산항을 만들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의지를 전했다.
한편 앞서 BPA는 항만 특성에 맞는 공통 안전기준 마련을 위해 ▲국내외 항만안전 관련법 조사 ▲터미널 운영사 안전기준 비교 ▲항만 하역 작업 영역별 위험요인 안전실태 조사를 수행했다. 또 부두별 상이한 작업환경을 고려하고 실효성 있는 매뉴얼을 위해 ▲하역사 안전관리자, 운영팀장 등으로 ‘안전기준 매뉴얼 제정 TF팀’ 운영 ▲관련업체 의견 조회 ▲터미널 운영사 안전관리자 간담회 등을 선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