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BISTEP “지역주도 혁신성장하려면 ‘대학-기업’ 협력 필요해”

BISTEP, ‘지역 혁신과 대학의 역할’ 보고서 발표… 기초연구 협력 성과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2.03 15:15:45

(자료제공=부산산업과학혁신원)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이 ‘지역혁신과 대학의 역할’을 주제로 산업·혁신 브리프 자료를 3일 발표하고 지역주도 혁신성장을 위해 대학과 기업의 협력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BISTEP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부산 내 연구개발 협력 현황과 활동 실태를 파악하고 지역혁신 시스템 활성화를 위한 대학의 역할을 도출하고자 수행한 것이다.

지역혁신 시스템은 산업 클러스터를 포함한 지역의 환경과 구조를 바탕으로 대학, 연구소, 기업 등 각 혁신 주체가 협력하고 상호작용하며 지역 혁신을 이루게 하는 시스템이다.

BISTEP은 보고서를 통해 특히 대학이 지역 내 연구개발 중심 기반으로 대학을 중심으로 한 지역 네트워크 형성과 교류를 통한 연구개발 협력, 지식 파급 경로 형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BISTEP은 국가 R&D 사업 데이터를 활용해 부산지역 연구개발 협력 현황 전반을 분석했으며 특히 부산지역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협력 연구개발(R&D)의 현황과 성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부산지역 과제 가운데 대학이 주관한 과제 수는 64.0%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기업의 연구개발 과제는 협력과제가 많았으며 지역 내 대학이 주요한 협력 상대라는 현 상황에 비해 지역대학은 협력연구보다 단독연구를 수행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ISTEP은 “대학은 지역혁신 시스템 내 지식 활용 측면의 협력주체로서 역할은 일부 수행하고 있으나 지식 생산 측면에서의 역할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곧 기술혁신의 원천이 되는 기초·응용 연구단계에서 혁신주체 간 상호작용과 성과 창출이 저조하고 효율적이지 못해 지역주도 혁신의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것이다”라고 분석하며 “이 시스템의 강화를 위해 지식 생산부터 응용, 활용까지 전 주기에서 지역 연구협력 지원정책 방안, 연구주체의 지식 교류·확산 경로 확보를 위한 분야별 협력 지원 사업 확대 등이 필요하다. 향후 본원은 지역주도적 혁신성장을 위한 지역 혁신 네트워크 강화 방안 도출을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하고 지역 산-학 협력 확대와 혁신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자료제공=부산산업과학혁신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