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경남미래정책, 국회에 ‘생활숙박시설 난립 방지 개정’ 촉구

부산경남미래정책 “수익은 사유화, 불편은 사유화하는 생활숙박시설과 오피스텔 막기 위해 국회가 나서야”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1.27 17:12:37

엘시티를 비롯한 생활형숙박시설이 다수 조성돼 있는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전경 (사진=포스코건설 제공)

부산경남미래정책은 최근 입장문을 내고 부산 해운대해수욕장과 광안리해수욕장 해안가에 생활숙박시설이 난립해 난개발을 막기 위해 국회에서 관계법령 개정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하고 나섰다.

생활형숙박시설은 사실상 주거시설이면서도 법적으로는 상업시설로 공동주택 기준 33%의 주차 면수만 확보해도 인허가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학교 부지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며 공원과 어린이놀이터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돼 교육과 주거 편의시설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부산경남미래정책에 따르면 해운대그랜드호텔 뒤에 위치한 우동 645-6외 22필지에 조성되는 A모 생활형숙박시설은 연면적 4만 2856.18㎡에 지하 5층~지상 38층 규모로 조성되고 있다. 이 부지는 ‘가로구역별 최고 높이 제한지역’으로 지정돼 있다고 미래정책은 설명했다.

이는 가로구역(도로로 둘러싸인 일단의 지역)을 단위로 해 건축물 최고 높이를 제한하는 것으로 일조권에 의한 높이 제한 등으로만 할 수 없는 조치를 보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해운대지역 내 건축허가를 받은 생활숙박시설 13곳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생활숙박시설이 됐다고 미래정책은 문제를 제기했다.

미래정책은 입장문을 통해 “가로구역별 최고 높이 제한구역이란 규제 장치는 각종 인센티브 적용을 받아 95m에서 약 150m 상향 조정으로 무력화하는 것으로 무너졌다”며 “이에 생활형숙박시설에 대한 근본적인 규제를 위해 생활숙박시설 폐지와 같은 근본적인 지점까지 강구하는 모습을 국회 차원에서 보여줘야 할 때”라고 촉구했다.

한편 미래정책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광안리해수욕장 일대는 최근 3년 4개월 사이에 10층 이상의 신축건물 허가가 총 21건 났는데 이 가운데 13건이 오피스텔, 3건이 생활형숙박시설이다. 오피스텔의 경우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주차시설도 가구당 0.5대꼴에 불과해 이 모든 오피스텔이 완공된 이후에는 주차난도 막대할 것이라고 미래정책은 우려를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