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11.26 15:41:26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는 올 초부터 발발한 코로나19에 따라 영화계 전체가 치명적인 타격을 입은 상황에서 한국영화 미래 준비를 위해 ‘포스트 코로나 영화정책추진단’을 발족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추진단은 ▲기획위원회(영화계 21개 분야 대표) ▲영화정책 패널(전업 영화인, 예비 영화인, 관객) ▲추진 TF팀(실무, 정책보고서 집필 담당자)로 구성됐다.
이 조직은 기존 정책 수립과정과는 달리 민-관을 포함한 영화계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새로운 방식의 의사결정 체계를 지향하며 정책 형성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한다. 이를 통해 한국영화계 정책 수립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먼저 추진단은 지난 22일 서울 영화교육지원센터에서 첫 기획위원회 회의를 열고 미래 영화정책 수립을 위해 가장 먼저 분야별 현안 과제를 확인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에 영화계 분야별로 현안연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현안인식포럼’에서 공유하기로 했다.
이후 그간 분야별로 구성된 연구원들과 전문가들이 함께 현안연구를 진행해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CGV압구정 1관에서 ‘포스트 코로나 영화정책추진단 현안인식포럼’을 열었다. 첫째 날인 17일에는 제작, 프로듀서, 독립영화, 지역 영상위, 지역 미디어센터, 부분투자, 여성영화인 7개 분야 발제·토론이 이뤄져 ‘중소영화 선순환 생태계 필요성’ 등의 현안이 제기됐다.
둘째 날인 18일에는 촬영, 기술, 수입배급, 온라인배급, 대형 투자배급, 중소형 투자배급, IPTV 7개 분야에서 발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이날 ▲기술연구소 설립과 기술 예산·인력 지원 확대, 기술교재 발간 ▲영상 후반 작업 기술 한국형 가이드라인 도출 ▲방송 외 영화만의 SVOD 서비스 필요 ▲대형 투자배급의 플랫폼 매출 공개, 수익분배 비율 조정 ▲독립예술영화 전용관 확충 등의 의견이 나왔다.
셋째 날인 19일에는 예술영화관, 일반영화관, 멀티플렉스, 연출, 시나리오, 지역 창작, 해외세일즈, 마케팅 8개 분야에서 발제와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현행법상 전용관 규정, 더 가치 지향적으로 변모 필요 ▲일반영화관에서의 디지털 전환 이후 유지비용 부담 지원 필요 ▲멀티플렉스 체인의 새로운 관객 유인책 ▲연출 분야 ‘수익 배분 통합 시스템’ 도입 등의 의견이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