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11.16 13:06:41
부산 롯데타워에 대해 20년 넘게 10차례 건축허가 변경, 6차례 임시사용승인을 거치면서 아직 타워동 건립을 시작하지 않고 롯데백화점 광복점 등 수익시설만 이용했다며 행정사무감사에서 질타가 빗발쳤다.
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회는 16일 오전 부산시 건축주택국을 대상으로 행정사무감사를 열고 부산 롯데타워의 계속된 건축 기간 연장은 안 된다며 문제 지적과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부산시 중구 중앙동에 건립을 계획하고 있는 부산 롯데타워는 지난 1995년 도시설계지구로 지정돼 1998년 도시계획시설 실시계획 인가 이후 ▲4차례 도시계획시설 실시계획 변경 인가 ▲10차례 건축허가 변경 ▲6차례 임시사용 승인을 거쳤으나 아직 타워동은 착공되지 않은 상태다.
이날 감사에서 이산하 의원은 “부산 롯데타워는 지난 2000년 11월 최초 허가 이후 그간 9차례나 설계변경이 이뤄졌는데 내용을 보면 저층부 판매시설은 규모 증가와 롯데의 시설 운용 편의에 따라 설계변경이 됐다. 반면 상층부 타워동에 대해선 지난 2011년 주거 도입 실패 이후 뚜렷한 추진 의지가 없었다”고 지적하며 “특히 지난해 1월 롯데 측의 타워동 전면 재검토는 사실상 롯데타워 사업을 판매시설 정도로 마무리하겠다는 것으로 마지못해 ‘제2 용두산 부산타워’ 건립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시는 주거시설 배제에만 매몰된 채 이에 대해 아무런 제재도 하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박흥식 의원은 “지난 9월 25일 접수된 롯데 측의 경관심의 자료를 보면 롯데가 지난해 107층 계획을 백지화하고 높이 380m로 낮춘 전망대 타워로 건립하겠다고 한 계획과도 많은 차이가 있다. 전망대 타워동 관광시설은 대폭 축소되고 되려 판매시설만 늘어났다”고 질타하며 “지난해 1월에 발표한 지역 관광 랜드마크는 오간 데 없고 오로지 영업을 위한 수익시설로서의 판매시설과 전망대만 남았다. 또 백화점동에 대한 지난 2009년 최초 임시사용 승인 이후 10년이 지나도록 고층부 공사가 아직 시작조차 하지 못했기에 시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현 해양교통위원장은 “부산 롯데타워는 저층부의 수익시설 영업은 10년 넘게 해오면서도 고층부 타워동에 대해선 주거시설 도입 시도와 잦은 디자인 변경 등으로 시간만 끌어왔다. 이에 대해 북항 재개발의 연장선에서 본 취지대로 원도심 내 해양관광의 앵커 기능과 랜드마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시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며 “부산 롯데타워 외에도 부산에 대규모 개발사업을 여럿 진행하고 있는 롯데가 부산시민과 함께 가기 위해선 진정성을 갖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양교통위는 특히 이날 해당 상임위 소관이 아니지만 최대경 도시계획실장을 증인으로 채택해 그간 3차례 도시계획시설 실시계획변경 인가를 해준 근거와 지난 11일 4차 변경인가를 해준 것에 대해 질타하고 책임 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최대경 도시계획실장은 “롯데 측에 사업 기간 연장을 6개월 해줬는데 만일 이 기간을 연장해주지 않으면 사업이 사라지게 된다. 연기 기간으로 6개월을 정한 이유는 도시계획관리 결정이 되고 실시계획 인가가 변경되는 등의 절차가 총 6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봤기 때문”이라며 “저희가 인가를 6개월 연기한 것은 오직 부산의 이익을 위해 내준 것으로 107층이란 부산타워 사업 목적 시행을 위함이다. 시가 시행사인 롯데 측에 끌려간다는 지적은 안타깝게 생각하나 롯데가 타워 내 주거에 대한 구애를 계속하고 있기에 이 문제는 시의회와 행정 등 더 다각적으로 보고 결정해야 한다고 본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