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11.13 12:36:55
부산항 북항 재개발 사업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이 이뤄졌다. 부산시의회에서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 문제점의 전면 수정과 2단계 방향 대책에 대해 부산시에 촉구하며 공공성 논란으로 홍역을 치른 해당 사업에 변화가 생길지 귀추가 주목된다.
부산시의회 해양교통위원회는 13일 오전 10시 상임위원회실에서 부산시 도시균형재생국을 대상으로 부산시의회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했다.
이날 해양교통위 소속 의원들은 북항 재개발의 1단계 문제점에 대한 수정, 보완과 2단계 사업의 방향성 설정 등에 대해 집중 질의하고 시에 대책을 촉구했다.
김민정 의원은 도시균형재생국에 “현 사업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빌딩 장벽으로 북항과 도심의 단절 문제 등이 심각하다. 시의회에서 요구한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에 대한 수정과 보완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하며 “1단계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랜드마크’ 개발 부지에 대해 그간 복합리조트, 돔구장 건립 등 논의가 있었지만 구체적인 도입 시설에 대해 정해진 바가 없다. 무엇보다 랜드마크 시설 부지는 건축물 높이에 제한이 없어 향후 공공성과 사업성의 첨예한 갈등이 나타날 수 있기에 시민 공감대 형성과 절차 투명성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또 김동일 의원은 “수도권 쏠림을 막고 청년 유출 문제를 북항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미래먹거리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산업단지 조성 후 기업을 유치하는 기존 방식보다 앵커시설인 기업을 먼저 유치하고 필요한 산업 환경을 이후에 조성하는 방식으로 더 적극적으로 기업 유치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며 “북항 2단계 사업이 인접해 있는 문현금융단지의 규모를 보완해 국제 금융중심도시로 성장하도록 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했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이현 위원장은 도시균형재생국장에 “부산의 백년 미래가 달린 북항 재개발 사업에 대해 현시점에서 미비점을 보완해야 한다”며 “당장 눈앞의 단기 성과보단 미래먹거리와 청년 일자리 창출 등 좀 더 장기적인 안목으로 부산시가 주체가 돼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김광회 시 도시균형재생국장은 “북항 1단계 내 랜드마크 부지는 동부산관광단지에 테마파크와 같은 기능을 할 것으로 복합리조트 등 여러 구성이 있다. 허나 계획을 아직 비워둔 이유는 누가 들어올지 모르니 참여 대상기관이 창의적 아이디어를 펼칠 수 있도록 해주자는 취지에서 그렇게 한 것”이라며 “지금 유치기업 모집을 사업시행자에게 맡겨 진행하기엔 부산항만공사도 어렵고 부산시도 여러 시도를 했으나 아직 답을 못 찾았기에 더 노력해 좋은 기능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하겠다. 앞으로 북항 재개발 사업 과정 절차에 대해 더욱 적극적이고 투명하게 오픈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