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11.12 11:15:26
어제(11일)자 부산참여연대 등 지역 시민단체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의 지역화폐 동백전 운영에 대해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한 가운데 부산시가 12일 보도자료를 내고 해명에 나섰다.
(관련기사: 부산참여연대, 동백전 운영사 재선정에 반발 “전문적 논의 부재”)
앞서 시민사회단체에서는 동백전 모바일 앱에서 운영대행사가 수행하는 기능이 ‘충전’뿐이고 결제는 제휴카드사가 하도급으로 수행한다는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나 시는 동백전 카드 결제 과정 중 ‘매입’만 제휴카드사가 담당하며 승인과 정산 등 실질적 역할은 운영대행사가 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이와 함께 시민단체에서 가장 강조했던 동백전 운영대행사인 KT가 협약 당시 약속한 ‘지역상품몰’ 오픈을 미루고 있다는 지적에 시는 계약대로 대행사가 구축을 진행해 내달 초 완료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또 시민단체들은 지역화폐 운영대행사에 지급하는 연간 수수료 100억원이 타 지자체와 비교하면 과도하다는 지적을 했다. 이에 시는 “동백전을 당초 계획인 3000억원에서 1조원으로 증액 발행함에 따라 불가피하게 수수료가 추가된 것”이라며 “요율은 기존 1.155%에서 0.7% 수준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 요율은 타 광역지자체의 수수료 요율을 고려할 때 높은 수준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부산시 전역에 구·군 캐시백을 추가 제공하는 ‘중층구조 시스템’도 이미 지난 2월에 도입을 마친 상태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7일 열린 중간보고회에서는 연제구 내 가맹점을 대상으로 시범운영도 이뤄졌다고 소상공인지원담당관 관계는 전했다.
이외에도 시는 시민과 소상공인을 위한 기능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가맹점에서 1~10% 추가할인을 제공하고 앱 내에서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상생 플러스 가맹점 서비스’도 지난 5일부터 운영을 시작했으며 동백전 이용 시 할인이 누락되지 않도록 대행사와 밀착 관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부산시 이윤재 민생노동정책관은 “부산시는 운영대행사와 협의해 충전금 계좌를 시가 직접 운영하는 등 타지역보다 우수한 측면도 많아 단순 비교는 어렵다. 일각에서 제기한 다양한 부가 기능이 없다는 지적에 대해 위원회의 의견 수렴을 거쳐 지속해서 업데이트할 예정”이라며 “현 운영대행사와의 계약기간인 연말까지 모든 과업이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점검할 계획이다. 최근 제기된 동백전에 대한 오해를 대표적인 지역화폐 플랫폼으로 도약하는 기회로 삼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