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11.09 16:35:47
총 390여억원의 국·시비가 투입된 부산 유라시아 플랫폼이 개관 1년 만에 단순 대관시설로 전락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부산시의회에서 제기됐다.
부산시의회는 김진홍 의원(동구1, 국민의힘)이 9일 유라시아 플랫폼 운영 주체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고 밝혔다.
김진홍 의원은 우선 운영기관 선정이란 첫 단추부터 잘못 꿰어졌다고 지적했다. 운영기관에 선정된 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의 장이 오거돈 캠프 출신이라는 것이 잘못됐다는 지적이다.
앞서 부산시는 지난 2017년 6월 공모를 통해 부산경제진흥원을 유라시아 플랫폼 운영기관으로 선정했음에도 민선 7기가 들어서며 운영기관을 부산도시재생지원센터로 거듭 변경해 논란이 있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이는 부산시 산하기관에 대한 ‘갑질 행정’일 뿐 아니라 캠프 출신에 대한 보은성 결정이란 방증”이라며 “또 위수탁 협약서에 구체적으로 어떤 사무를 위탁하는지조차 명시돼 있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전문성을 잣대로 엄격하게 운영기관을 선정했다고 보긴 힘들다”고 비판했다.
본래 유라시아 플랫폼은 지난 2014년 ‘전국 1호 도시재생 경제기반형 국가 선도사업’에 선정되며 시작된 것으로 단순 도시재생이 아닌 ‘스타트업 육성’과 ‘부산역 인근 혁신창업 클러스터’ 조성이 취지로 알려졌다.
이에 김 의원은 “그러나 입주기관 현황을 살펴보면 시 사업 위탁 운영기관들이 대부분이며 이외에는 단순 대관만 이뤄지고 있어 본 취지인 창업공간과도 전혀 맞지 않다. 심지어 도시재생 측면에서도 북항-부산역-원도심을 통합한 거점시설로서의 역할도 전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혈세 390억원이 들어간 유라시아 플랫폼이 단순 대관·회의실로 전락하는 것을 더는 좌시할 수 없다. 운영기관을 전면 재검토해 전문성 있는 기관으로 선정하는 것이 유라시아 플랫폼이 ‘창업’ ‘도시재생’의 거점으로 거듭나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운영기관 재검토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