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연구원, 서면·연산·해운대 등에 ‘녹색교통진흥지’ 도입 주장

지금의 부산지역 교통 상황에서 녹색교통진흥지역 도입 필요성 강조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1.04 11:14:01

‘부산 녹색교통진흥지역 지정’ 전문가 선정 적정지 위치도 (사진=부산연구원)

오늘날의 부산지역 교통상황에서 ‘녹색교통진흥지역’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최근 부산연구원에서 제기됐다. 부산연구원은 4일 위와 같은 내용의 ‘부산시 녹색교통진흥지역 도입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녹색교통진흥지역은 녹색교통의 진흥을 위해 지정한 특별대책지역으로 이곳에서는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운행이 제한돼 진입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는 곳이다.

앞서 지난 4월 17~20일 부산연구원은 부산의 교통 전문가, 시민단체 활동가 등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85%가 현재의 부산 교통상황에서 ‘녹색교통지역’ 지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을 들었다.

부산에서 녹색교통진흥지역을 지정한다면 적당한 지역으로 ▲서면 35.0% ▲센텀시티 15.0% ▲남포동 13.3% ▲동천로 12.5% ▲연산 6.7%의 순으로 나타났다.

녹색교통진흥지역에서 교통 혼잡 완화 효과를 위해선 ▲대중교통수단 우선통행 조치 ▲교통체계 지능화 사업(ITS) ▲혼잡 통행료 징수 ▲교통유발 부담금 징수 강화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반면 일반 시민의 경우 ‘녹색교통진흥지역’에 대해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연구원은 위 연구에 이어 지난 5월 27~30일 부산지역 가구 차량 소유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녹색교통진흥지역에 대해 85.2%가 인지하지 못한다는 응답을 들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원규 선임연구위원은 “부산에 녹색교통진흥지역을 도입하기 위해선 관련 법령 개정과 녹색교통진흥지역 특별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며 “뿐만 아니라 시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시민 합의 도출, 효율적 차량관리시스템, 녹색교통지원 인프라 확충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부산시 대기오염 물질별 공간 분포도 (자료제공=부산연구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