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형 수소경제의 목표를 ‘해양 수소’로 잡고 이를 선도하기 위한 컨트롤 타워로 ‘부산시 해양수소경제위원회’를 설치하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부산연구원은 지난 29일 위와 같은 내용의 ‘부산형 수소경제 실현 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수소경제가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떠오르며 지자체 간 수소 산업 육성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부산시도 수소 분야 특화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최윤찬 선임연구위원은 “중장기적으로 타 시도와 특화한 부산 고유의 정책 목표가 필요하다”며 “‘부산형 수소경제’ 목표를 해양 수소로 설정하자”고 제안했다.
이는 수소 분야에서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를 두기 위해 부산의 수소경제를 육상이 아닌 해양에 초점을 맞추자는 것이다. 해양 수소경제는 해양에서 수소를 생산, 저장, 운송, 활용하는 것과 관계되는 모든 경제활동이다.
부산연구원은 보고서 발표에 앞서 부산의 해양 산업 전문가 60명과 기업 60곳을 대상으로 부산형 수소에 대한 설문을 진행했다. 조사에서 전문가의 80%와 기업체 54%가 부산형 수소에 대해 해양 수소가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부산연구원은 이 조사를 바탕으로 해양 수소 실현을 위한 생산, 저장, 운송, 해양산업 연계 확장 등 분야를 대상으로 8가지 기본 구상을 제시했다. 이는 ▲해양에너지를 담수분해 또는 해수분해해 생산(생산 분야) ▲해양에너지를 수소 저장물질로 생산해 암모니아와 같은 수소 전환물질로 저장(생산 분야) ▲해양 미생물을 이용한 수소 생산(생산 분야) ▲신항만 지역 선박용 수소 벙커링(저장·운송 분야) ▲내륙 공급용 수소 저장·공급(저장·운송 분야) ▲해양 수소 기반 어촌뉴딜(해양산업 연계·확장) ▲수소병원선 건조, 운영(해양산업 연계·확장) ▲해양 수소 기반 다목적 해양과학 리조트 조성(해양산업 연계·확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