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이 10일 성명을 내고 현재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을 위해 낙동강 수질을 개선하는 것이 최우선돼야 할 과제라고 강조하고 나섰다.
민주당 부산시당은 성명을 통해 “물 이용 부담금으로 조성된 낙동강 수계 관리기금은 시의 기금 징수금 역할을 하는 것에 비해 혜택은 미미하다”며 “이는 낙동강 수계관리위원회의 기금 징수 목적에 맞지 않는 공정성 문제와 깨끗한 물 공급 취지에 반한 결과적 수질 악화 책임을 면하기 힘들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그러면서 “이런 이유로 낙동강 수질이 개선되지 않으면 물 이용 부담금과 원수 대금 납부를 거부하겠다는 경남 창원시의 결정에 부산시도 함께 할 충분한 개연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민주당 부산시당은 부산시의 환경 시설비 수혜가 미미하다는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부산시당은 “물 이용 부담금이 하수를 분리 정화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 가운데 시 스스로 하(폐)수 무방류 실증단지 구축에 나서 기존 국내의 통용기술을 뛰어넘는 혁신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며 “또 기금 요청과 함께 낙동강 본류 정화의 주체로 나서는 등 이를 주력 산업화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민주당 부산시당 고대영 대변인은 “낙동강이 극심하게 오염돼 낙동강 원수에 포함된 미량의 유해물질 처리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그러나 현 우리나라 기술로는 이런 난분해성 미량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선진 기술이 없어 해당 기술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낙동강 유해물질 처리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