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경남미래정책, 시·상공계에 ‘에어부산’ 인수 합작사 설립 제안

아시아나항공, 사실상 매각 무산… 부산경남미래정책, 에어부산의 부산시·상공계 합작회사 인수 제안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09.07 09:54:44

에어부산의 ’AIRBUS A321LR‘ 항공기가 이륙하는 모습 (사진=에어부산 제공)

에어부산에 대한 아시아나항공의 매각 협상에서 사실상 HDC현대산업개발이 채권단의 제안을 거부하면서 아시아나항공이 산업은행 채권단의 관리 체제에 접어들게 될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에어부산, 에어서울, 아시아나IDT, 아시아나에어포트 등 자회사들도 산업은행 채권단 관리나 분리매각 기로에 놓인 상태다.

이에 부산경남미래정책은 7일 보도자료를 내고 부산시와 지역상공계 중심의 ‘합작회사(Joint Venture)’ 설립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산업은행 채권단과 즉각 지역 기업화 모두 우려하는 입장도 드러냈다.

부산경남미래정책은 최단 시간을 전제로 한 단계적 지역기업화를 방안으로 제시했다. 이들은 “산업은행 채권단 아래 기간산업 안정자금 지원 시 계열사 지원금지 정책으로 되려 에어부산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며 “지역상공계를 중심으로 한 부산지역사회가 지역기업화 시 에어부산을 내실 있게 성장시킬 수 있을지도 회의적이다”라고 우려를 표했다.

기간산업 안정자금 지원조건 가운데 ‘계열사에 대한 자금지원 금지’가 있어 자금대여, 채무보증, 일감 몰아주기 등이 엄격히 금지되고 있다. 특히 에어부산은 아시아나항공에 매입채무 264억원, 리스채무 4062억원이 있으며 내년까지 에어서울과 함께 아시아나항공에 지불해야 할 리스료만 1081여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미래정책은 ’단계적 지역기업화‘를 제시하며 채권단에 의한 경영정상화를 조기에 이룬 뒤 분리매각 과정에 시와 지역상공계가 합작회사로 인수하는 방안을 전했다. 설명에 따르면 해당 합작사는 기업과 정부 기관이 영구적인 기반 아래 특정 기업체 운영에 공동 참여하는 것이다.

부산경남미래정책 관계자는 “분리매각 시 항공기 정비와 리스 등 아시아나항공에 의존하는 부분의 비용 증가도 우려되는 만큼 에어부산의 급격한 지위 변화에 완충 작용할 구체적 세부내용도 지역사회가 준비해야 한다”며 “뿐만 아니라 지난 7월 ’조건부 지역기업화‘를 제시했던 라임펀드 투자 손실과 과도한 부채비율 등 부실 경영행위에 대한 해결책도 제시되지 않았다. 에어부산의 자구책과 부산 상공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