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한전KDN, 차세대 AMI시스템 실증… ‘한국형 그린뉴딜’ 기초 다져

유·무선 IP 통신기반 K-DCU AMI시스템 검침성공률 99% 이상 달성

  •  

cnbnews 손민지기자 |  2020.08.06 16:09:02

차세대 AMI시스템 계량정보 수집 절차도. (사진=한전KDN 제공)

한전KDN은 지능형 전력계량 인프라(AMI,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통신망 품질향상과 신서비스 검증을 위해 추진된 ‘차세대 데이터집중장치(K-DCU) 기반 AMI시스템 현장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한국전력공사가 최신 ICT기술을 적용, 개발한 K-DCU 및 통신모뎀의 성능과 품질을 현장검증하기 위해 제주도 조천읍 일대 약 1만호 규모 고객을 대상으로 7개월간 시행한 시범사업이다. 주사업자인 한전KDN이 ㈜씨앤유글로벌, ㈜다음정보기술 등 다수 AMI전문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을 통해 수행했다.

한전KDN에 따르면 이번 실증은 AMI시스템 품질평가의 척도인 ‘검침성공률’과 ‘설비가동률’에 있어 실증기간 동안 99% 이상을 유지해 목표 수준을 초과 달성하는 등 기존 설비 대비 시스템 안정성과 성능이 크게 향상됐음을 검증했다.

또 국내 최초로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6(IPv6)’ 통신체계의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과 저전력근거리 IoT의 하나인 와이선(Wi-SUN)을 통해 유·무선 복합통신 기반으로 구축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중전력선 환경에서도 더욱 안정적인 IoT-PLC 통신기술을 확인했다. 원격 설비관리 및 시스템 제어, 신(新)검침기능 등을 탑재해 계량정보(전력량계가 생산하는 정보)를 운영자가 원하는 주기별로 선택, 취득할 수 있어 향후 새로운 전력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매우 유용할 것이라는 의견이다.

K-DCU는 통신 커버리지, 검침구역 및 고객수용 규모를 기존 DCU 대비 2배 이상 확대할 수 있다. 이로써 경제적 효과와 함께 기술혁신을 통한 고성능·고품질과 향후 서비스 확장성까지 모두 갖춰 차세대 AMI시스템의 핵심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전KDN 관계자는 “K-DCU는 차별화된 성능과 안정성을 바탕으로 향후 AMI서비스 품질향상 및 우리나라 전력서비스 고도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그린 뉴딜로 관심이 커지는 AMI의 안정적 확대에 확실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차기 사업의 기초를 다지는 실증효과를 거뒀다”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