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국립부산과학관, ‘여름학기 교육 프로그램’ 개강

7세~중학생 대상, 실험 중심의 수학 및 과학 교육프로그램… 코로나19 관련 바이러스, 감염병, 마스크 관련 교육 확대

  •  

cnbnews 손민지기자 |  2020.07.20 11:13:57

개인 교육프로그램(봄학기) 수강 모습 (사진=국립부산과학관 제공)

국립부산과학관이 오는 8월 4일부터 30일까지 ‘여름학기 교육프로그램’을 개강한다.

과학관은 7세 유아부터 중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험을 통해 과학적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여름학기 교육프로그램’을 개강하며 오는 23일부터 접수한다.

특히, 이번 교육프로그램에는 코로나19와 관련해 바이러스, 감염병, 마스크에 대해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강좌를 대폭 신설했다. 교육프로그램은 유아과학교실, 창의탐구교실, 소프트웨어코딩교실, 창작메이커교실, 주제탐구교실 등 5개 분야 13개 강좌로 학년별로 나눠 진행된다.

유아과학교실은 7세 유아를 대상으로 놀면서 과학을 배울 수 있는 1일 과정으로 진행된다. ‘키즈랩’에서는 무찌르자 바이러스를 주제로 세포 관련 실험을, ‘키즈메이킹’에서는 여름철 시원한 슬러시 만들기를 할 수 있고 ‘키즈코딩’에서는 코딩로봇 알버트와 함께 알고리즘을 체험해볼 수 있다.

창의탐구교실은 기초과학과 수학의 원리를 깨우쳐 볼 수 있는 4일 연속 과정으로 이뤄진다. 빛의 세상, 내가 만든 수학동화, 백설공주의 사과, 난쟁이 나라에 간 걸리버 등 재밌는 주제로 과학에 대한 생각의 범위를 넓혀본다.

소프트웨어 코딩교실에서는 컴퓨터 사고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다. 초등 1·2학년은 컴퓨터 없이 코딩의 기본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언플러그드코딩’에서 규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초등 3·4학년은 ‘마이크로비트’를 활용해 스마트 자동차, 스톱워치 등을 만들어본다.

창작메이커교실은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톡톡 튀는 아이디어를 더해 나만의 작품을 만들어 보는 강좌다. 초등 1~3학년을 위한 ‘주니어 창작 놀이터’에서는 캐릭터 무드등, 태엽장난감, 손거울을 만들어 본다.

초등 4~6학년을 위한 ‘메이커랩’에서는 마스크 도안 설계 및 소재 탐구 등 나만의 마스크를 만들어 본다. 3D프린터를 활용한 심화 학습을 원한다면 ‘3D공학’에서 마스크걸이를 출력하고 공공디자이너로서 디자인제품을 만들어 볼 수 있다.

주제탐구교실에서는 플라스틱과 바이러스에 대해 심층 탐구하는 시간을 갖는다. 이번 학기 첫 개설된 ‘플라스틱 탐사대’, ‘슬기로운 플라스틱 생활’ 에서는 특별기획전 ‘플라스틱? PLASTIC!’과 연계해 일상 속 플라스틱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고 지구환경 보호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고민해본다.

한편,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가 어떻게 생기는지, 바이러스와 함께 살아가는 현상에 대해 학습해볼 수 있는 ‘봐! 러스’ 강좌도 새롭게 개설됐다.

여름학기 교육프로그램은 오는 23일 오후 2시부터 과학관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 가능하며 4일 연속과정을 수강하는 교육생에게는 과학관 수료증 및 특별기획전 ‘플라스틱? PLASTIC!’ 무료입장권 등 혜택이 제공된다.

고현숙 관장은 “코로나 시대에 안전 확보를 우선시해 교육을 마련했다”라며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과학을 즐길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부산과학관은 코로나19로부터 교육생 안전 확보를 위해 마스크 착용 의무화 및 강의실 내 학부모 출입 제한 등 거리두기 지침을 적용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