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사기 피해자 휴대전화에 악성앱을 설치해 '지하철역을 폭파하겠다'고 112에 허위신고한 중국거점 보이스피싱 콜센터 조직이 무더기로 경찰에 붙잡혔다.
부산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사기, 전자금융거래법 위반 등의 혐의로 보이스피싱 총책 A씨 등 15명을 구속했다고 2일 밝혔다. 또, 중국에서 잠적한 조직원 2명을 인터폴 수배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 등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중국 칭다오시에 콜센터 사무실 및 숙소를 차려놓고 '저금리 대환대출을 해주겠다'고 속여 기존 대출금 상환 핑계로 피해자 211명을 상대로 20억4000만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A씨 등은 보이스피싱을 눈치챈 피해자 B씨의 휴대전화 번호로 '감전역을 폭파하겠다'는 문자를 112에 보내 허위신고를 한 혐의도 받고 있다.
신고를 받은 경찰 특공대와 군, 소방대원들이 현장에 출동해 감전역 일대를 수색했으나 폭발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경찰조사결과 피해자 B씨가 1205만원을 송금했다가 보이스피싱 범행을 눈치채고 추가 송금을 거부하자 앙심을 품은 조직원들이 피해자의 휴대전화에 몰래 설치한 악성앱을통해 허위문자신고 및 B씨의 아내에게 '이혼하자'등의 문자를 발송한 사실이 드러났다.
경찰은 이들이 기존 2·3 금융권 대출 이력이 있는 사람들의 개인정보를 구매해 '정부지원 저금리 대환대출을 해주겠다'며 대출광고 문자를 대량 발송 후, 이를 보고 연락 온 사람을 상대로 발신번호 조작, 악성앱 설치 등 조직적 방법으로 피해자들을 속여 돈을 가로챘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들은 국내 정상적인 캐피탈에서 전화를 건 것처럼 전화번호를 조직과 연계해 '070'으로 시작하는 인터넷 번호를 '010' 국내 번호로 조작했다.
전화번호를 조작한 조직은 국내 오피스텔을 빌려 '모바일 게이트웨이'라고 불리는 중기계를 설치, 중국에 거점을 둔 다수의 보이스피싱 콜센터 조직과 연계해 국내에서 발신된 번호로 조작하는 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중국에 체류 중인 조직원 2명에 대해 외교부를 통한 여권무효와 조치와 인터폴 적색 수배를 한 상태"라며 "발견된 '악성앱'은 인터넷진흥원을 통해 휴대전화 백신업체에 코드정보 등 통보 조치, 향후 백신프로그램 업그레이드시 적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