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이 25일 대입제도 개편 공론화에 대한 견해를 발표했다.
시교육청은 " 2015 개정교육과정과 현행 대학입시제도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현재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 치르게 될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을 논의하고 있다"며 "하지만 국가교육회의 공론화위원회가 제시한 4가지 대입제도 개편안은 창의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과 맞지 않아 유감이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은 제4차 산업혁명 등 미래사회에 대비한 교육체제를 확립해야 하는 골든타임이다. 대입제도 개편은 교육과정 중심으로 이뤄져야 하며 초·중·고교 교육과정의 정상화를 지향, 학생 성장 중심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수능 중심의 정시 확대를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시교육청은 "정시가 확대되면 일선 고등학교에서 문제풀이식 수업이 강조되고, 수학·영어·국어 등 일부 수능 과목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파행 운영될 것이다. 이는 특정 지역 학생, 특목고 학생, 재수생, 고액 사교육을 받는 학생이 유리하며 지역 간, 계층 간의 교육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교육 정상화와 미래역량 교육을 위해서는 수능의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수시모집에서도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학생의 학업역량, 전공 적합성, 인성, 창의적 사고력,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생을 선발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을 확대해야 한다" 며 "일부에서 제기하고 있는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한 불신 문제는 입학사정관들의 신분 보장, 처우 개선 등 제도적 뒷받침과 학생부 기재 방식의 개선을 통해 충분히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교육청은 "고교 교육 정상화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에 둔 미래지향적인 대입제도 개편안을 만들어 줄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