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의적 공간·주민휴게서비스 공간 예시.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동 단위 주민행정서비스 기능 및 주민자치능력 향상 지원을 위한 지역거점 시설인 '복합커뮤니티센터'의 설치를 처음 계획보다 21개소 늘려 총 87개소로 확대해 조성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복합커뮤니티센터'는 시의 다복동(다함께 행복한 동네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기존 거점시설을 활용해 행정서비스를 비롯한 마을지기사무소, 복지, 보건, 고용, 자원봉사 등을 제공하는 원스톱 종합서비스 지원 시설이다.
시가 205개동 주민센터를 대상으로 실시한 전수조사 결과, 총 87개동이 리모델링 및 기타 편의시설 확충 등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는 전수 결과를 적극 수렴해 당초 `19년까지 4년 동안 총 66개소를 설치 할 계획이었던 복합커뮤니티센터 조성 계획을 내년 35개소, 후년 34개소로 당초보다 21개소 증가한 총 87개소를 사업비 105억 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수정·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다복동, 마을지기, 건강센터 등 하드웨어 중심의 기존 사업추진방식에서 벗어나 창의적 공간배치와 주민휴게서비스 공간 확충 등 주민요구사항을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계획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건축사협회, 공공건축가의 재능기부 등을 통해 마을 특성에 맞는 창의적 건축공간을 마련할 계획이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본 사업은 주민 밀착형 원스톱 종합서비스 지원시설로써 정부의 도시재생뉴딜사업과 병행 추진해 보다 많은 주민들에게 양질의 편의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