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부산시민, 재난·안전과 환경 분야 개선요구 높아

스마트시티 전략 분야별 핵심 서비스 위한 시민 토론회 22일 열려

  •  

cnbnews 이소정기자 |  2017.07.19 09:25:42

▲부산 스마트시티 조성 기대효과 참고표. (사진제공=부산시)


부산시는 '부산형 스마트시티 실행전략 수립'을 위해 실시한 시민수요조사 결과 재난·안전 및 환경 분야에 대한 시민의 정책수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부산시와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BISTEP)이 ㈜한국갤럽조사연구소를 통해 지난 3월30일부터 4월14일까지 총 2주간 부산시에 살고있는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 응답한 시민들은 △범죄·보안 △교통 △환경 △에너지 △교육 △재난·안전 △의료·복지 △행정 △문화·관광의 9개 분야 중 '재난·안전'과 '환경' 분야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보였고, 개선의 시급성은 높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태풍, 지진, 원전 등 재난·안전 분야 사고의 영향에 민감한 부산 지역 특성과 미세먼지 등 환경에 대한 높은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교통' 및 '범죄·보안' 분야에 대해서는 평균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지만 개선에 대한 필요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삶에 대한 시민의 요구가 반영된 것으로 스마트시티에 대한 미래의 정책수요가 높은 분야로 볼 수 있다. 

스마트시티 조성을 통한 기대효과에 대해서는 효율적 교통정보 제공, 대중교통 이용 편리성 증대 등 '교통' 분야에 대한 기대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간편하고 편리한 민원행정 등에 대해서도 높은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부산시와 BISTEP은 '부산형 스마트시티 실행전략 수립'의 일환으로 이번 조사결과가 반영된 스마트시티 전략분야별 핵심 서비스에 대한 시민 토론회를 오는 22일 시청1층 대회의실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이후 토론회 결과를 종합해 하반기에는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실행계획 및 과제 로드맵을 수립하고 발표할 예정이다. 

BISTEP 민철구 원장은 "부산 시민들이 체감하고 주도할 수 있는 부산형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과학기술의 역할에 대해서 면밀히 파악해 행복하고 안전한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부산시민들이 느끼는 도시문제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부산형 스마트시티 실행전략 수립'의 스마트시티 적용분야 도출에 반영해 부산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정책 방향을 수립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는 해운대구 센텀시티에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사업'을 통해 올해 말까지 238억원을 투자해 안전·교통·관광·에너지·환경·생활편의 등 26가지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프라를 구축한 바 있다. 현재는 스마트 관광·스마트 교통·스마트 교차로·스마트 파킹서비스 등 10개 자체 및 확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