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통계청의 자료를 토대로 부산 경제의 종합지표인 경제성장률이 지난 `13년에는 전국보다 1.0%p 낮은 1.8%에서 `15년에는 2.9%로 전국보다 0.1%p 높아졌다고 13일 밝혔다.
`08년 이후 지역총생산의 전국비중은 2013년을 저점으로 2년 연속 확대돼 5%대로 진입했으며 1인당 개인소득은 `12년 이후 4년째 전국 3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부산경제가 전반적으로 튼튼해진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된다.
경제 성장률 상승의 배경으로는 먼저 일자리 분야에서의 약진이 있다. 올해 1월 중소기업청이 발표한 `15년 기준 지역별 중견기업수를 살펴보면, 부산에 설립된 중견기업의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의 중견기업은 `14년 152개에서 `15년은 191개로 무려 39개(25.6%)가 증가돼 전국 4위에서 3위로 도약했다.
또한 매년 전입기업은 늘고 전출기업은 줄어 지난해 전입기업은 95개인 반면 전출기업은 2개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선6기 이후 올 상반기까지 부산시는 모두 89개 기업과 1조7407억 원의 투자유치에 성공했으며 이로 인한 고용유발은 1만2천명이 넘는다.
고용의 질적 측면에서도 고성장을 보였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의 비중이 매년 증가, `13년 57.2%에서 올 1분기에는 64.4%로 7.2%p나 증가됐으며 전국과의 격차도 7.1%p에서 3.6%p로 줄었다.
창업생태계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1년 7만703명에서 `13년 6만7681명으로 줄어든 창업자수도 지난 3년동안 연속으로 증가해 지난해에는 7만4899명으로 늘었다.
반면 폐업자수는 `15년 4.4% 감소되어 전국과 7대도시 평균인 3.1%와 3.8%보다 감소폭이 높았다. 특히 지난해에는 과당경쟁 등으로 전국적인 폐업자수가 15.1% 증가되었으나 부산은 10.4% 증가에 그쳐 전국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선의 이면에는 그동안 부산시의 기업친화적인 정책적 노력이 있었다. 부산시는 민선6기 들어 7개의 산업단지 462만㎡를 추가 조성했고, 부산형 히든챔피언 및 선도기업 지정·육성과 기업 규제개혁, 창업생태계 조성 등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지난해 어려움을 겪었던 조선업의 경우 올해 5월 누적 선박수출은 2억7천2백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6.6배 늘었으며, 항만물동량도 844.4백만TEU로 5.2% 증가됐다.
서병수 시장은 "지난해 주력산업의 불황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모두 함께 힘을 합쳐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올 들어 경기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는 서민경제 활력과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경제체질 개선 노력으로 경제회복세에 더욱 탄력을 불어 넣겠다"라며 "이를 위해서는 센텀2지구, 방사선의과학단지 등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김해신공항과 2030 부산 등록엑스포 유치 등 부산의 현안 사업 해결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