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경기도, 권역 광역교통 분야에 약 2조 9000억 원 국비투자 가능해져

국토부 제3차 광역교통계획에 경기도 권역 33개 사업 반영

  •  

cnbnews 이병곤기자 |  2017.02.20 18:01:38

경기도는 최근 국토교통부가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2017~2020)’을 확정·고시함에 따라 경기도 권역 광역교통 분야에 33개 사업, 약 2조 9000억 원의 국비투자가 이뤄질 수 있게 됐다고 20일 밝혔다.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 계획’은 국토부가 대도시권의 광역교통문제를 개선하고자 각 지자체와 협의를 통해 수립하는 5년 단위 국가계획이다. 이 계획에 반영된 사업은 ‘대도시권 광역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해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이번 3차 시행계획의 경기도 권역 사업으로는 ‘광역철도’ 부문 12개 사업, ‘광역도로’ 부문 9개 사업, ‘BRT’ 부문 5개 사업, ‘환승시설’ 부문 7개 사업 등 총 33개 사업, 국비 2조 9000억 원이 반영됐다.


우선 ‘광역철도’ 부문에는 현재 공사단계인 ‘별내선(암사~구리~별내)’, ‘진접선(당고개~진접)’, ‘하남선(강일역~검단산역)’, 설계단계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3개 노선)’ 등 총 12개 노선이 반영됐으며 오는 2020년까지 2조 7131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광역도로’ 부문에서는 경기도를 기점삼아 인천, 서울과 연계되는 도로를 중심으로 ‘상도교~호장교’, ‘감일~초이’, ‘벌말로’, ‘봉오대로~김포공항’ 등 9개 노선이 반영돼 1877억 원의 국비가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외에도 대중교통이용 활성화와 경쟁력 있는 대도시권 광역교통체계구축 차원에서도 총 12개 사업 742억 원의 국비가 투자된다.


먼저 주요 간선도로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해 급행버스를 운행하게 하는 시스템인 ‘BRT(간선급행버스체계)’에 ‘부천~신방화역’, ‘도봉로~국도43호선’ 등 총 5개 사업 558억 원의 국비가 계획돼 있다. 또한 교통수단 간 원활한 환승을 지원하는 ‘환승시설’ 부문에는 ‘병점역 복합환승센터’, ‘킨텍스역 복합환승센터’ 등 7곳에 184억 원의 국비가 투입된다. 주차 가능한 면수만 도합 1630면에 이르는 규모다.


경기도는 이번 시행계획의 추진이 완료됐을 경우 그 효과가 ‘수도권 온실가스 배출량’은 4%가 감소하고 ‘대중교통 이용률’은 2.3%가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장영근 경기도 교통국장은 “이번 계획에 반영된 신규사업으로 인해 경기도와 서울·인천 간의 연계성이 강화돼 도민의 광역교통이용 편의성이 대폭 증진될 것”이라며 “국비지원을 통한 광역교통사업의 추진으로 도 및 관련 지자체들의 재정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효율적인 광역교통문제 해소’ 차원에서 국토교통부 및 관련 지자체와 적극적인 협의 및 참여를 지속 유도해 나갈 계획이다.


(CNB=이병곤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