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기자수첩] 가격도 모르고 사먹는 아이스크림 이대로 괜찮나

실속 없는 오픈 프라이스 폐지에 농락당하는 소비자들

  •  

cnbnews 허주열기자 |  2015.04.30 18:52:57

오픈 프라이스가 폐지된 지 4년이 지나도록 권장소비자가격(이하 권소가) 표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특히 아이스크림 및 빙과류는 가격을 표시한 제품을 찾는 것이 어려울 정도다. 이는 대형마트 등 판매자의 할인율 뻥튀기에 소비자가 농락당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소비자문제연구소 컨슈머리서치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시중에 판매되는 아이스크림 및 빙과류의 가격표기 비율은 거의 ‘제로’에 가깝다. 조사대상인 빙그레, 롯데삼강, 롯데제과, 해태제과의 31개 제품 중 가격표시가 된 제품은 해태제과 탱크보이 달랑 1개에 불과했던 것. 

이 같은 가격 미표기는 아이스크림 반값 논란을 부르는 주범이다. 할인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아이스크림 반값 세일’ 홍보에 소비자는 “진짜 반값일까?”라고 의심하면서도 가격비교를 할 길이 없어 진짜 가격을 모르고 구매를 결정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된 것은 정부가 2011년 7월 최종 판매자가 실제 판매가격을 결정하고 표시토록 해 자율 경쟁을 유도한다는 취지로 도입한 오픈 프라이스를 1년 만에 폐지하며 예전과 같이 가격을 의무적으로 표기하도록 하는 대신 가격표기를 식품업체 자율에 맡겼기 때문이다.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인 가격표기를 식품업체가 굳이 할 이유는 없다.

실제로 오픈 프라이스 폐지 당시 주무부서(산업통상자원부)와의 간담회에서 최대한 빠른 시일 내 권소가를 다시 표기하겠다고 공언했던 식품업체들은 지금까지 “권장 사항일 뿐이어서 문제될 것이 없다”며 버티고 있다. 

결국 강제되지 않는 가격표기 제도가 수년째 이어지며 가격 비교를 할 수 없게 된 소비자의 혼란만 커지고 있다. 식품업체의 자율에 맡겨서는 이러한 혼란이 해소되지 않는 다는 것이 이미 증명된 만큼 2010년 이전처럼 권소가 표기를 의무화하는 규정 마련이 시급하다. 

현 정부는 규제를 타파해야할 암 덩어리로 규정하고 있지만 꼭 필요한 규제도 있다는 것을 아이스크림 가격 혼란이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CNB=허주열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