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B=권이재 기자) 울산 청소년들의 안정적인 성장과 학교 밖 청소년들을 지원하는 정책 방안으로 위기상황 개선 모형 개발, 성장교육지원 및 전문화, 교육복귀시스템 구축 등을 제안하는 연구보고서가 발표됐다.
울산발전연구원(원장 황시영) 기획경영실 박혜영 박사는 발간한 '울산시 학교 밖 청소년의 실태와 위기극복 방안 연구' 라는 연구보고서에서 지역현황 분석, 정책 제언 등을 다뤘다고 밝혔다.
보고서에서 박 박사는 학교를 그만두는 지역 청소년 수가 지난 2011년 0.88%(1천6백42명), 2012년 0.89%(1천5백88명), 2013년 0.84%(1천4백22명) 등 매년 1천명 이상의 규모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이 '학교 부적응' 을 이유로 고교시기에 중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구과정에서 상담복지센터 전문가, 상담교사, 가족 구성원들과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위기는 학교폭력이나 성적, 학업부진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가정에서의 돌봄이나 챙김 부족, 방임이나 정서적 지지감 부재 등을 경험한 경우 개연성이 높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대부분의 학업중단이 고등학교에서 일어나지만 이는 중학교까지가 의무교육인 특성에 기인한 결과라 할 수 있고 실제 학업중단은 고등학교 시기 이전에 이미 누적된 결과로 보아야 하므로, 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어린 시기부터의 학교-가정-아동·청소년 보호연계 및 정보전달과 돌봄의 구체적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학교 밖 또래집단이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아르바이트나 취업 후 폭언이나 인격모독, 성희롱 등 위기상황에 노출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사회적인 안전망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박 박사는 이러한 위기 상황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 현재 30여개의 청소년 지원 법률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지원 정책의 통일성 및 연계성을 확보하고 누락지점이 없는 보편적 실행가능성의 법적 근거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청소년활동진흥센터,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청소년성문화센터, 교육청, 일선 학교 등의 예산과 전문성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지속적인 청소년 현황조사를 수행하고 중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 분야가 정부예산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현실에 대해서는 지역의 예산과 자원을 소규모, 일부 시범적인 케이스에 투입해 청소년 위기상황 개선모형 개발을 자체적으로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와 함께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여전히 성인으로 성장하는 시기이므로, 학교 밖이라도 마땅히 받아야 할 성교육, 생활습관(음주와 흡연의 이해)교육, 대중매체 이해교육 등의 성장교육이 전문적으로 지원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학교 밖 청소년들을 교육에 복귀시키기 위한 '사회적 복교 시스템' 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해 폴리텍대학의 확장 및 구·군 중심의 제3대학 활용, 베이비부모 전직 지원, 대기업과 노동조합의 연계를 통한 교육 등 여러 주체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내세웠다.
박혜영 박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은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 미래의 주역으로 성장시켜야 할 대상 그 자체이다" 며 "이들이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위기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공동체에 속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가 나서야 한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