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진보당이 창당 3년 만에 해체됐다. 헌법재판소는 19일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이라는 헌정사상 초유의 판결을 내놓았다.
이로써 창당 당시 비례대표 부정경선 논란부터 내란음모 혐의까지 받으며 말도 많고 탈도 많던 통합진보당은 암흑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헌법재판소가 통합진보당에 대해 해산을 명령한 1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운니동 재동로터리에서 열린 집회에서 이정희 통진당 대표가 눈을 감은 채 사회자의 발언을 듣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통진당 "독재국가로 후퇴", 새누리당 "사필귀정", 새정치연합 "존중하나 우려"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에 이정희 대표는 “말할 자유, 모임의 자유를 송두리째 부정당할 암흑의 시간이 다시 시작되고 있다”며 “박근혜 정권이 대한민국을 독재국가로 후퇴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주의를 지켜내야 할 저의 마지막 의무를 다하지 못해 죄송하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에 대해 ‘사필귀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김무성 대표는 “이번 일을 계기로 폭력으로 이 사회 전복을 기도할 수 있다는 망상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이렇게 나쁜 정당이 우리 사회에 다시는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어떤 결정이 나왔든 간에 현행 헌법체계 하에서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
김재원 원내수석부대표는 “헌법상 규정돼 있는 민주적 기본질서를 지키고자 하는 헌법 정신이 판결로서 확립된 첫 사례”라며 “앞으로도 헌재, 정부, 그리고 국회는 대한민국 헌법과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역할을 끊임없이 계속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대출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헌재 결정은 사필귀정이고 헌법의 승리이자 자유민주주의의 승리”라며 “대한민국이 종북세력의 놀이터로, 국회가 종북세력의 해방구로 전락하는 것은 오늘로 종지부를 찍었다”고 환영했다.
지난 총선 때 야권연대를 하면서 통진당 의원들을 사실상 국회에 입성시킨 새정치연합은 통합진보당 해산 결정을 ‘존중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다만 ‘정당의 자유’에 대해서는 우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헌법적 가치의 최후의 보루는 헌법재판소”라며 “가장 중요한 헌법적 가치는 정당의 자유를 포함한 결사·사상의 자유인데 앞으로의 상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헌재 결정이 내려지기 전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헌재 결론이 어떻든 결정은 존중돼야 한다”면서도 “사법의 정치화도 문제지만 정치의 사법화도 경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수현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헌재의 오늘 결정을 무겁게 받아들인다”면서 “그러나 민주주의의 기초인 정당의 자유가 훼손된 것을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