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메트로(사장 이정원) 직원 112명이 54개역에서 1회용 교통카드 보증금 3017만원 횡령했다가 적발돼 파장이 일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경기 고양덕양을)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아 20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9년 5월부터 올해 6월까지 서울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 직원 112명이 54개역에서 1회용 교통카드 보증금을 6만343차례 부정하게 환급받아 총 3,017만원을 빼돌린 것으로 드러났다.
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역이 1,561만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잠실역 435만원, 홍대입구역 429만원, 왕십리역 131만원 등 순이다.
서울시는 이들 공금횡령자 112명과 관리감독자 70명 등 총 182명에 징계처분을 내렸으나 162명(89%)이 견책, 경고, 주의 등 경징계를 받았다.
지난 6월 4일 1호선 서울역 부역장 장씨는 1회 교통카드 보증금을 부정하게 빼돌린 혐의로 경찰에 적발됐다. 이후 서울메트로는 전 역을 대상으로 자체감사를 벌여왔다.
이들은 교통카드 보증금을 돌려받지 않는 시민들이 많다는 점을 악용했다. 실제 회수되지 않은 1회용 지하철 교통카드의 보증금이 5년 6개월간 75억7824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1회용 교통카드 미회수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발매된 1회용 교통카드 5억58만4751매 중 1515만6490매(3.03%)가 회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총 75억7824만원의 보증금이 승객들에게 돌아가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기존 종이 승차권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매표 무인화를 실현하기 위해 2009년부터 실시된 1회용 교통카드 보증금제는 500원을 무인발권기에 넣고 1회용 교통카드를 발급받은 후, 목적지에 도착하면 주변에 있는'보증금 환급기'에 사용한 카드를 넣고 500원을 돌려받는 식으로 운용된다.
하지만 교통카드가 미회수되면서 미반환 보증금이 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권 무인화 시스템으로 장애인, 노인, 외국인 등은 1회용 교통카드 발권이 어렵다고 호소하고 있어 기존 운영 취지에 상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날 김태원 의원은 "1회용 교통카드 보증금 횡령 사건은 특정 역무원들의 개인비리가 아니라 조직적인 횡령인 것으로 나타났다"며 "역무원들의 도덕적 해이와 함께 보증금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서울메트로는 재발방지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는 불필요한 손실을 막고 미반환 보증금을 줄일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하는 등 교통카드 회수율 제고대책을 마련하고, 사회적 약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발권 무인화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