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尹 “싹 잡아들여”…‘홍장원 메모’ 진실 드러나나

  •  

cnbnews 심원섭기자 |  2025.11.14 11:14:40

홍장원, 尹과 헌재 이어 세 번째 대면서 ‘증언 재확인’

尹, ‘메모’ 증거채택 놓고 ‘보좌관이 작성·신빙성 의문’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13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의 속행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이라’는 전화를 받았다고 주장하고 있는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13일 尹 내란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지난 2월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이후 9개월 만에 尹과 대면한 자리에서 당시 정치인 체포명단을 적은 이른바 ‘홍장원 메모’의 신빙성 두고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홍 전 차장은 이날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지귀연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윤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내란 특별검사팀이 “계엄 당일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통화하며 자필로 작성한 1·2차 메모는 폐기됐고, 4차 메모를 증거로 채택해달라”고 이날 법정에 제출했다.

앞서 홍 전 차장은 계엄 당일 여 전 사령관과 통화하며 자필로 초안인 ‘1차 메모’를 작성했고, 보좌관이 이를 토대로 정서(正書)한 ‘2차 메모’, 계엄 다음날 보좌관이 기억에 의존해 메모를 작성한 ‘3차 메모’, 3차 메모에 홍 전 차장이 얇은 선을 긋는 등 가필(加筆)한 ‘4차 메모’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법정에 제출된 메모에는 이재명·우원식·한동훈·김민석·딴지일보·김어준·조국·박찬대·정청래·헌법재판관·대법관·선관위원장·김명수·김민우·권순일 등의 이름이 적혀 있었으며, 홍 전 차장은 “지난해 12월 6일 ‘4차 메모’를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에게 보내줬다”면서 “이후 수사기관의 조사 과정에서 체포 인원이 16명이 아니라는 의미에서 선을 긋고, 14명에 동그라미를 치는 등 추가로 가필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윤 전 대통령 측은 “메모 중에 증인이 작성한 부분이 별로 없고, 나머지는 보좌관이 작성한 것으로 보인다. 그 부분은 진정성립을 따로 확인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이의를 제기했으나, 재판부는 “(통상) 문서를 작성할 때 초안을 지시하고 확인했다 빠진 게 있으면 가필했다는 것, 같은데 그러면 본인 작성(한 것)으로 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13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공판에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그러자 윤 전 대통령이 직접 나서 “(홍 전 차장 메모의) 초고란 게 보면 지렁이 글씨로 아라비아 (글씨) 지렁이처럼 돼 있어서 대학생들이 티(셔츠)도 만들어서 입고 그런 정도였다”면서 “그걸로 보좌관을 시켜서 이런 걸 만들었다고 하니…초고란 것 자체가 이거(이후 다른 메모들)랑 비슷하지 않다”고 신빙성을 공격했다.

이에 특검팀은 “재판장의 말처럼 이 부분은 보좌관의 대필에 불과하고, 사후적으로 (증인이) 내용을 확인하고 가필까지 해서 완성된 것”이라며 “증인이 작성자로 보기에 상당(타당)하다”고 반박했다.

홍 전 차장은 이날도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후 보안폰으로 전화를 걸어와 ‘비상계엄 방송을 봤냐’고 물어보신 것 같다. ‘봤다’고 하자 ‘싹 다 잡아들여서 이번에 싹 다 정리해라’라는 말씀과 ‘대공수사권을 지원해주겠다’고 했다”고 메모 작성 경위에 대해 구체적으로 증언하면서 “‘방첩사를 지원하라’고 했는데, 단순하게 방첩사를 지원하는 게 아니라 인원이나 예산을 무조건 지원하라고 강하게 말씀하셨던 기억이 난다”고 주장했다.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비상계엄 당시 정치인 체포명단을 적은 이른바 ‘홍장원 메모’의 신빙성 두고 13일 열린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재판에서 치열한 공방전을 벌였다. (사진=연합뉴스)

이어 홍 전 차장은 “이후 여 전 사령관에게 전화를 걸어 ‘대통령 전화를 받았는데 너희를 지원해주라고 했다’”고 말한 뒤 여 전 사령관 쪽으로 돌아보자 이에 여 전 사령관은 “국회는 경찰과 협조해 봉쇄했다. 선배님 도와달라. 체포조가 나가 있는데 소재 파악이 안 된다. 명단을 불러드리겠다”고 한 뒤 “‘명단에 적힌 이들을 체포한 이후에는 방첩사 구금시설에 수용해 신문할 것이고 1·2차 체포작전을 할 것’이라는 내용을 설명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홍 전 차장은 “조태용 전 국정원장이 ‘국정원 청사 내부에서 여 전 사령관에게 체포명단을 전달받았다’고 했는데, CCTV 화면상에는 홍 전 차장이 해당 시간에 청사 앞 공터를 지나고 있었가”고 주장해 신빙성 논란이 벌어졌다.

이에 홍 전 차장은 “국정원 CCTV에는 GPS가 연동돼 있어 정확하다고 했지만, 국정원에 CCTV를 납품한 업체에 확인해보니 약간의 시차가 있다고 했다”면서 “CCTV 공개가 상당히 편집된 상태에서 편파적으로 공개된 게 아닌가 의문”이라고 반박했다.

재판부는 오는 20일 홍 전 차장을 한 차례 더 불러 윤 전 대통령 측의 반대신문을 진행하기로 했다.

 

(CNB뉴스=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