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대통령실 “한미정상 합의대로 핵잠수함 선체는 韓서 짓고, 우라늄은 美 공급”

“팩트시트 늦어지지만 다 포함”…원잠-원자력협정-동맹현대화 다 담길 듯

  •  

cnbnews 최영태기자 |  2025.11.07 17:02:58

지난 11월 18일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항 미국 해군의 로스엔젤레스급 원자력추진잠수함(SSN) 컬럼비아함. (사진=연합뉴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7일 한미 간 관세-안보 합의 내용을 담은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 자료)의 발표가 늦어지고 있지만, “양 정상이 논의한 이슈는 다 포함한다”고 밝혔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사이에 논의된 재래식 무장 원자력(핵) 추진 잠수함(이하 ‘원잠’) 관련 내용도 팩트시트에 포함된다는 의미로 읽힌다.

이 관계자는 아울러 “팩트시트에는 (우라늄의) 농축-재처리 부분도 다뤄지고, 한미동맹의 현대화 부분도 담길 것”이라고 밝혔다.

그간 한국이 미국 측에 요구해온 사용 후 핵연료의 재처리 허가, 미국이 한국에 요구해온 한국 군의 지역 안보에 대한 폭넓은 기여 가능성 등에 대한 한미 정상간 합의 내용이 모두 팩트시트에 담길 예정임을 알리는 발언이다.

 

경주에서의 한미정상 만남. (사진=대통령실 제공)


이 관계자는 “안보 분야의 경우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 당시에 이미 그대로 발표해도 될 만큼 문구가 완성됐었지만, 회담에서 새로운 얘기들이 나와 이를 반영할 필요성이 생겼다”며 “현재는 새 이슈에 대한 조정도 대체로 마친 상태인데, 미국에서 문건을 검토하면서 의견을 추가로 수렴하는 작업을 하느라 시간이 걸리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에서 건조'는 이미 정상회담 때 이 대통령이 언급"


구체적인 발표 시점에 대해서는 “언제가 될지 특정해 말하기는 조심스럽다”고 언급했다.

구체적인 원잠 건조 방법과 관련해서는 “선체 및 원자로는 한국에서 만들고 연료로 쓰이는 농축 우라늄은 미국에서 들여오겠다는 것이 현재 정부의 방침”이라고 설명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건조 장소를 미국의 ‘필리조선소’로 거론하는 SNS를 올리며 일부 혼선이 빚어졌지만 이 관계자는 “(한미) 정상 간 대화에서 한국에서 짓는 것으로 논의한 사안”이라며 “(정상회담 대화) 기록을 보면 이 대통령은 ‘우리가 여기(한국)에서 짓는다’라고 말한 부분이 나와 있다”고 소개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