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국립순천대 약학과·의생명과학과 연구팀, 국제 저명 학술지 ‘Environmental Pollution’에 논문 게재

  •  

cnbnews 이문석기자 |  2025.03.21 16:54:44

국립순천대 참여 주요 연구진 (좌측부터, 의생명과학과 박대한 박사과정, 의생명과학과 김종진 교수, 약학과 정승현 교수. (사진=순천대)

 

의생명과학과 박대한 박사과정생 제1저자, 김종진·정승현 교수 공동교신저자로 연구 수행

국립순천대학교(총장 이병운) 생명산업과학대학 의생명과학과 박사과정생 박대한 학생이 제1저자로 참여하고, 의생명과학과 김종진 교수와 약학대학 약학과 정승현 교수가 공동교신저자로 발표한 연구 논문이 환경과학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 ‘Environmental Pollution’(SCIE)에 게재됐다.


대학에 따르면 해당 논문은 ‘4-tert-octylphenol의 독력학 평가를 통한 집단 노출 위해성 평가 및 인체 조직 독성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독성 기준값 추정’을 주제로, 환경 내 유해 화학물질인 4-tert-octylphenol의 인체 독성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모델을 제시했다. ‘Environmental Pollution’은 ‘환경과학(Environmental Sciences)’ 분야에서 상위 10%에 해당하는 저널로, 저널 영향력 지수 기준으로 세계 저널 순위 359개 중 35위(상위 90.4%)에 해당하는 권위 있는 학술지이다.


4-tert-octylphenol은 주로 세제, 유화제, 청소용품 등 생활용품에 사용되며, 환경에 잔류하면서 인체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물질이다. 기존 연구에서 생식 독성, 발달 장애, 간 및 신장 독성을 유발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으나, 개별 조직 수준에서의 정량적 독성 평가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생리학적 기반 독성동태학(Physiologically Based Toxicokinetic, PBTK) 모델과 독력학(Toxicodynamics) 모델을 결합하여, 4-tert-octylphenol의 내 분포 및 조직 독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인체 내 노출 위험을 평가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했다. 특히 신장, 고환, 간 세포주를 활용한 조직별 독성 분석을 수행하여, 각 조직에서의 독성 반응을 정량적으로 평가했다.

네티즌 의견

[그림의 영문, 숫자를 입력하세요]

[ 300자 이내 / 현재: 0 자 ] ※ 사이트 관리 규정에 어긋나는 의견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현재 총 ( 0 ) 건의 독자의견이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