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국민의힘, 거의 범죄집단…건전·합리적 보수도 우리 몫 돼야”
MBC 100분 토론 출연…“개헌은 블랙홀, 지금은 내란 극복에 집중”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국민들은) 국민의힘을 ‘보수’라고 불러주지만, 지금은 거의 범죄 집단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 대표는 19일 오후 MBC ‘특집 백분토론’에 출연해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위헌의 친위 쿠데타를 일으킨 세력을 비호하고 같이 몰려다니는 게 보수 정당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표의 이 같은 발언은 전날 진보성향의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우리는 진보가 아니다. 앞으로 민주당은 중도·보수로 오른쪽을 맡아야 한다”고 언급하자 국민의힘이 ‘보수를 사칭한다’고 비난하는 것은 물론, 당내에서조차 비판이 나오자 이를 반박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실제로 이 대표의 ‘중도·보수’ 발언이 나오자 기다렸다는 듯이 비명(비이재명)계에서는 “이 대표가 당의 정체성을 혼자 규정하는 것은 월권”이라는 반발들이 터져 나왔다.
비명계 대권주자로 꼽히는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이날 SNS에 올린 글에서 이 대표의 발언을 겨냥해 “비민주적이고 몰역사적”이라며 “진보의 가치를 존중하며 민주당을 이끌고 지지해 온 우리 당원과 지지자들의 마음은 어떻겠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역시 비명계 대권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한 번의 선언으로 민주당의 정체성을 바꿀 수는 없다”며 “탄핵과 조기 대선을 코 앞에 두고 이념논쟁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비명계 모임인 초일회도 입장문을 내고 “유승민이나 안철수하고 통합하면 딱 맞겠다”고 비아냥 거리면서 “중도층을 확보하겠다며 어떤 토론도 없이 정체성을 바꾸는 것은 당의 비민주성과 사당화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86(80년대학번·60년대생) 그룹 대표인사인 우상호 더미래연구소장은 이날 국회 세미나에서 “사회적 문제에 대해서는 진보적 해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온당하다”고 주장했고, 박광온 전 원내대표도 “진보개혁 노선을 지키면서 건강한 보수 어젠다로 확장하는 것이 국민의 기대”라고 강조하는 등 지금은 오히려 ‘진보적 정체성’을 부각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그러나 이 대표는 100분 토론에서 “(테슬라 최고 경영자인) 일론 머스크도 ‘나는 원래 자리에 있었는데 세상이 바뀌어 좌파에서 중도가 됐다’고 말했다. 민주당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고 반박하면서 최근 성장을 중요시하는 자신의 행보를 두고 ‘우클릭’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것에 대해서도 “민주당은 분배와 성장의 균형을 맞춰왔다”고 해명했다.
이어 이 대표는 “지금은 경제 상황이 너무 어려워 경제에 집중하지 않으면 마이너스 성장을 하게 생겼는데 분배와 공정을 얘기할 틈이 어디 있겠는가?”라고 발문하면서 “이걸 보고 우클릭했다 하는데 우리는 제자리에서 자기 얘기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 대표는 “지금은 가치의 중심을 실용에 두고 성장을 더 중시해야 한다”면서 “우리가 보수 정당이 되겠다는 게 아니라 건전한 보수, 합리적 보수의 역할도 우리 몫이 돼야 한다는 것”이라고 거듭 해명했으나, ‘지지층의 반발이 걱정되지 않겠나’라는 패널의 질문에 “우리 지지층이 (제 생각을) 오해할 것 같지 않다”고 대답했다.
이처럼 이 대표가 당안팎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잇단 우클릭 행보를 보이는 것은 지지층 이탈을 염려하지 않아도 될만큼 자신감이 붙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민주당 보다 훨씬 왼쪽에 서 있는 조국혁신당 조국 전 대표, 정의당 심상정 전 대표 등이 사실상 정치일선에서 물러나 있는 상태라 민주당 지지층이 이 대표의 우클릭으로 인해 진보정당들로 이동하는 현상이 최소화 될 것이기 때문이다.
(CNB뉴스=심원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