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尹이 싹 잡아들이라 했다”...국정원 차장의 양심고백

  •  

cnbnews 심원섭기자 |  2025.02.05 11:45:41

尹 면전서 “진심으로 사과했어야” 직격…여인형·이진우, 尹 체포 지시 증언 거부

헌재, 尹 탄핵심판 ‘국정원-군사령관들’ 엇갈린 증언…尹 “아무 일도 안 일어나”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은 “12·3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체포와 관련해 직접 지시받았다”고 증언한 반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을 비롯해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등 군사령관들은 윤 대통령의 체포 지시 등과 관련한 증언을 대부분 거부해 눈길을 끌었다.

홍 전 차장은 4일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에 증인으로 출석해 “윤 대통령이 ‘싹 다 잡아들이라, 국정원에 대공 수사권을 줄 테니 국군방첩사령부를 도우라’고 말했느냐”는 국회 측 질문에 “그렇게 기억한다”고 답했다.

홍 전 차장은 다만 “누구를 잡아들여야 하는지는 전달받지 못하고 이를 파악하기 위해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에게 전화했다”고 설명했으며, 이어 국회측이 ‘여 전 사령관이 사용한 정확한 워딩(단어)이 체포조가 맞느냐’, ‘체포 대상을 검거 후 방첩사 구금 시설에서 감금해 조사할 예정이라는 얘기를 들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명확하게 답변했다.

이어 홍 전 차장은 “여 전 사령관이 불러주는 체포명단을 받아 적었다”면서 “적다 보니 이게 뭐지, 생각이 들어서 뒤 내용은 반 정도 적다가 추가로 적지 않았고, 나름대로 기억을 회복해 적어 보니까 14명, 16명 정도 됐나(하고) 기억한다”고 증언했다.

그리고 이날 국회 측이 공개한 홍 전 차장과 윤 대통령, 여 전 사령관의 통화 기록에 따르면 윤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오후 8시께 홍 전 차장에게 전화했으나 홍 전 차장은 받지 못했고, 오후 8시 22분께 홍 전 차장이 다시 윤 대통령에게 전화해 20초간 통화해 윤 대통령은 ‘1∼2시간 이후 중요하게 할 일이 있으니 대기하라’고 지시했다고 홍 전 차장은 전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이 통화에 대해 조태용 국정원장이 국내 부재중으로 잘못 알고 “국정원장이 부재니 국정원을 잘 쟁겨라,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니 비화폰을 챙겨라라고 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홍 전 차장은 이후 윤 대통령은 오후 10시 53분께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 1분 24초간 통화하는 과정에서 윤 대통령이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다고 주장한 반면, 윤 대통령은 “격려 차원에서 전화한 것으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4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서 윤 대통령과 증인들이 각각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 대통령, 이진우 전 육군 수도방위사령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사진=연합뉴스)

이후 홍 전 차장은 10시 58분께 여 전 사령관에게 전화해 48초간 통화했으나 제대로 설명을 듣지 못했고, 11시 6분께 두 번째 전화를 걸어 2분 47초간 통화하면서 체포명단을 불러줘 받아적었다고 증언했다.

아울러 홍 전 차장은 이날 심판정에서는 지난해 12월 5일 오전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에게 보낸 텔레그램 메시지도 공개됐다.


홍 전 차장은 이 메시지에서 “모시는 분(윤석열)의 멱살을 잡을 양 이야기하셔야 한다”거나 “눈물을 흘리고 무릎을 꿇어야 한다” 등의 이야기를 하며 윤 대통령이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그러면서 홍 전 차장은 이런 메시지를 보낸 것에 대해 “비상계엄 하루가 지난 12월4일 대부분 사람들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행동하고 있었다. 저는 두 가지가 걱정스러웠다”면서 “첫째는 군이 철수했지만 군 내부가 안정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군이 완전히 안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우려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홍 전 차장은 “둘째, 이 사태는 여의도 일부 사람들만 아는 일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지켜봤다. 계엄군이 철수하고 해제됐다고 해서 모든 것이 없던 일처럼 넘어갈 수는 없다.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더 큰 위기로 다가올 것 같았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그래서 대통령을 돕고 싶었다. 그 당시로서는 이렇게 하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했고 지금도 마찬가지”라며 “대통령이 진심으로 국민에게 사과하고, 당시 느꼈던 심경을 솔직하게 이야기했다면, 국민들이 훨씬 더 대통령을 이해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진술하면서 “김 차장이 이 메시지에 답을 하지 않았고 윤 대통령에게 전달됐는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반면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에 증인으로 출석한 여 전 국군방첩사령관은 ‘정치인 체포명단을 받은 적 있느냐’는 질문에 증언을 거부했으며, 이 전 수도방위사령관도 윤 대통령의 전화 지시 등과 관련한 답변을 대부분 거부했다.

여 전 사령관은 이날 증인 심문에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14명의 체포명단을 받은 사실이 있느냐”라는 국회 측 질문에 구체적으로 답하지 않고 “형사재판에서 답하겠다”고 답변을 거부했다.

이어 여 전 사령관은 “장관으로부터 지시받은 사항을 이해해서 부하들에게 얘기한 것이고, 부하들 각각에게 지시사항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서로 이해한 내용이 조금씩 다르다”며 “형사재판과 관련한 부분이라 자세히 진술할 수 없다”고 답변했다.

그러나 여 전 사령관은 계엄 선포 무렵 조지호 경찰청장과 전화 통화에서 특정 인물들의 이름이 담긴 명단을 전달하며 위치정보를 요청한 사실과 관련해서는 “조 청장에게 두 가지를 협조 요청한 것으로 기억한다”며 “첫 번째는 법령과 작전 계획에 따라 합동수사본부가 구성돼야 하니 경찰 인력을 보내달라는 것, 두 번째는 특정 명단에 대한 위치 파악이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여 전 사령관은 “명단에 대한 구술은 있었지만, 조 청장이 기억하는 것과 제가 기억하는 게 다르다. 형사재판에서 따져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이면서 “홍 전 1차장에게서 먼저 전화가 와 통화한 사실은 있다”면서도 14명의 위치정보 확인 요청이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답변을 거부했다.

이어 열린 이 전 사령관도 “저도 형사소송에 관련돼 있고, 검찰 조서에 대한 증거 인부(인정 또는 부인)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엄중하고 중요한 상황임을 알지만 (답변이) 상당히 제한되는 점을 양해해 달라”고 답변을 거부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발언 기회를 얻어 증인들의 이 같은 증언에 대해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국회의원을 끌어내 국회의 계엄 해제 의결을 막으려 했다는 의혹을 강하게 부인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사건을 보면 실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지시했니, 지시받았니, 이런 얘기들이 마치 호수 위에 빠진 달그림자 같은 걸 쫓아가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면서 “자기 기억에 따라 얘기하는 것을 대통령으로서 뭐라고 할 수 없지만, 상식에 근거해 본다면 이 사안의 실체가 어떤 건지 잘 알 수 있지 않겠느냐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주장했다.

(CNB뉴스=심원섭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