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대구경북행정통합 제2차 여론조사, 찬성비율 높게 나와

45.9% 찬성! vs 37.7% 반대!

  •  

cnbnews 이경미기자 |  2021.04.19 12:16:57

대구경북 행정통합에 대한 찬반. (자료=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 제공)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위원회(공동위원장 김태일·하혜수, 이하 공론화위원회)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31일~이달 11일 대구ㆍ경북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대구 500명, 경북 500명)을 대상으로 2차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이달 기준 주민등록인구 현황에 따라 성별, 연령별, 지역별(읍ㆍ면ㆍ동 단위)로 인구 구성비에 맞게 무작위 추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4P이다.

조사 결과 찬성 45.9%, 반대 37.7%, 모름/무응답 16.4%로 나타났다. 대구시민은 오차범위 내에서 찬성이 반대보다 1.8% 높았으며, 경북도민은 찬성의견이 반대보다 14.6% 높아 경북도민이 대구시민보다 행정통합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구 동부권(수성구, 북구 동구)과 경북 동부권(포항시,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영덕군, 울릉군, 청도군, 청송군)에서 찬성의견이 높았고 대구 서부권(달서구, 달성군)과 경북 북부권(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안동시, 영양군, 영주시, 울진군)에서 반대의견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찬성 38.5%)에서 찬성의견이 가장 낮았고, 나머지 전 연령층에서 찬성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찬성 43.6%), 40대(찬성 47.8%), 50대(찬성 44.8%), 60대(찬성 48.2%), 70대 이상(찬성 51.8%)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찬성률을 보였다.

행정통합 찬성 이유(2개 선택)는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로 경쟁력 확보’ 53.8%,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지방정부 구성으로 국가균형발전도모’ 53.2%, ‘시도의 통합을 통한 도시와 농촌의 상생발전 도모’ 45.8% 순으로 나타났다.

행정통합 반대 이유(2개 선택)는 ‘지역 균형발전 정책이 제대로 추진되지않을 것 같아서’ 62.1%, ‘통합에 따른 경제산업 발전 성과가 크지 않을거 같아서’ 60.8%, ‘대구경북의 권한이 더 늘어날거 같지 않아서’ 30.1% 순으로 조사됐다.

행정통합에 대한 찬성 이유는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 및 경쟁력 강화, 반대 이유는 균형발전 추진 약화 및 경제산업 성과 미비에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민의 주된 찬성이유는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지방정부 구성으로 국가균형발전 도모’ 61.0%, 주된 반대이유는 ‘통합에 따른 경제산업 발전성과가 크지 않을 것’ 65.7%로 조사됐으며, 경북도민의 주된 찬성이유는 ‘지방 정부의 권한 강화로 경쟁력 확보’ 55.6%이며 반대이유는 ‘지역 균형발전 정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을 것 같아서’ 77.8%로 응답했다.

대구경북행정통합 때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분야(5점 만점)는 ‘경제산업’이 4.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과학기술’ 4.3점, ‘교육’, ‘사회복지’, ‘환경’이 각각 4.2점으로 나타났다.

김태일·하혜수 공동위원장은 “대구경북행정통합 공론화 과정이 진행되면서 시ㆍ도민들의 인지도가 높아지고 찬성의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을 확인했다. 가장 큰 관심사인 통합 추진 시점은 내년도 지방선거 이후 중장기 과제로 진행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통합에 대한 대구시민과 경북도민의 지지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구시 지역내에서 서부권과 경북도 지역내에서 북부권을 중심으로 낮은 찬성률을 보이는 것도 주의 깊게 봐야 할 대목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공론화위원회는 오는 23일 전체 위원 워크숍을 개최하고 대구경북행정통합 기본계획, 특별법, 종합검토 의견을 논의‧의결할 계획이다. 그 후 오는 29일 시‧도지사 보고회를 통해 최종 의견을 제출한다. 다음 달 중에는 행정통합 공론화 성과와 전망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설문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대구경북행정통합공론화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