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박민성 시의원 “의료사각지대 ‘공백’ 해결할 대책 서둘러야”

민간의료기관과 협력 강화 및 복지 사각지대 적극 발굴·촘촘한 공공의료체계 구축 등 대안 제시

  •  

cnbnews 변옥환기자 |  2020.12.21 16:37:49

박민성 부산시의원 (사진=변옥환 기자)

부산시의회 복지안전위 소속 박민성 의원(동래1,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열린 상임위 회의에서 코로나19로 발생한 취약층의 의료·복지 공백 해결을 위한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21일 박 의원에 따르면 지난 18일 취약계층의 의료를 담당하는 부산의료원이 코로나19 전담병원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위급한 이주민이 적기에 치료를 받지 못해 생명을 잃을 뻔한 일이 발생했다.

이에 대해 박민성 의원은 “코로나19 감염증이 급격히 확산하며 부산의료원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됐고 지난 6월에는 취약계층이 치료할 병원이 없어 결국 사망한 사건도 발생했다”며 “이러한 사건의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앞서 지적했음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비슷한 일이 발생해 매우 안타깝다”라고 의견을 전했다.

현재 부산을 비롯한 전국적인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으며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박 의원은 “일부에서는 이 때문에 부산의 공공의료체계가 감당할 수준을 곧 넘어설 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있다”고 우려를 전했다.

박 의원은 특히 노숙인, 이주민, 노인 등 취약계층과 거동이 불편한 이들에 대한 의료복지 대책이 전무해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복지기관에서도 코로나19 자원봉사자가 없는 실정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때문에 기존 직원만으로 운영되고 있기에 위급한 상황에 놓인 취약계층을 별도로 관리할 여력이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상임위에서 박민성 의원은 “시는 공공의료 취약지역이면서도 의료 과잉 공급지역이다. 즉 공공의료가 취약한 반면 민간의료기관은 많기에 먼저 시 협력병원과 안심병원으로 지정된 곳으로부터 취약계층 진료를 위한 협력을 이끌어 민간이 공백을 일부 부담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사각지대가 생기는 근본적인 이유는 공공의료가 취약하기 때문으로 촘촘한 공공의료체계를 구축하는 대책이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 겨울철에는 취약계층의 활동력이 떨어져 겨울철만이라도 주민자치센터와 민간복지기관과 시설 등이 취약계층과 사각지대의 발굴 활동을 수시로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