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옥환기자 |
2020.08.14 10:50:46
부산시가 그동안 섬유·세탁 관련 분쟁을 심의하는 전문단체가 없어 분쟁 해결에 어려움을 큰 시민을 위해 추경 예산을 확보해 내달부터 관련 분쟁을 전문 심의·조정하는 단체를 육성한다고 14일 밝혔다.
의류나 기타 섬유제품은 전 소비자가 사용하는 필수품이기에 구매, 사용, 세탁에 있어 소비자 분쟁 비중이 큰 품목이기도 하다. 이 분야에서 분쟁이 잦은 이유로는 제품 하자 발생 시 원인 규명이 어렵다는 점이 꼽힌다.
지난해 소비자 상담내용 가운데 섬유제품이 차지하는 비율은 이동전화서비스, 헬스장, 스마트폰에 이어 4번째로 많았다.
소비자원이 지난 2018년 1월부터 지난해 3월간 접수한 6257건의 분쟁을 분석한 결과 ▲품질 하자 여부 심의 3871건(61.9%) ▲세탁 과실 여부 심의 2386건(38.1%)으로 나타났다.
책임 소재별로는 ▲제조 불량 등 제조·판매업자 책임 44.9% ▲세탁 방법 부적합 등 세탁업자 책임 9.7% ▲취급 부주의 등 소비자 책임 17.7% ▲기타 책임 불분명 27.7% 등으로 나타나 사업자 책임이 54.6%를 기록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시는 지난 13일 오전 시청에서 FITI시험연구원 부산지원, 부산소비자단체협의회, 다이텍연구원 부산섬유소재진흥센터, 한국세탁업중앙회 부산지회, 한국소비자원 부산지원 등과 민간단체의 섬유·세탁 분쟁 심의 역량을 높이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
부산시 박성훈 경제부시장은 “시가 시민을 위해 섬유·세탁 전문심의 단체를 육성 지원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섬유·세탁 관련 소비자 피해를 신속히 구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제품에 부착된 품질 표시, 취급 시 주의사항을 꼼꼼히 확인해 세탁 의뢰 시 제품 상태를 확인하는 등 하자 유무를 사업자 앞에서 바로 확인해야 피해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