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학벌없는사회 “어린이집, 반강제적 특별활동 신청서 선택권 침해”

  •  

cnbnews 박용덕기자 |  2020.03.16 10:00:50

대다수 어린이집들이 정규 보육과정 중 실시하는 특별활동을 위해 보호자에게 반 강제적인 특별활동 신청서를 받는 것은 선택권 침해가 있어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학벌없는사회(이하 단체)를 위한 시민모임은 16일 입장문을 내고 “대다수 어린이집이 정규 보육과정 중 특별활동을 하면서 반강제적으로 보호자에게 특별활동 신청서를 받는 등 선택권 침해가 잇따르고 있고, 미 신청 원아의 경우 상대적 박탈감·열등감, 차별 등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보건복지부에 관련 제도 개선을 권고해줄 것”을 국가인권위원회에 촉구했다.

학벌없는사회는 “코로나로 인해 어린이집 등원이 미루어지고 있지만, 새 학기를 대비해 어린이집에서는 특별활동 실시 동의서 등 필요한 서류를 각 가정에 송부하고 있다”며 “서류상 특별활동에 대한 학부모 선택권을 보장하고 있으나, 특별활동을 정규 보육과정 중 실시하는 경우가 많아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신청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고 지적했다.

또 단체는 “보건복지부 관련 지침에 따르면 특별활동 미신청자를 위해 대체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하고 있지만, 대다수 부모들은 이 지침이 실질적으로 지켜지고 있는지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면서 “특별활동을 신청하지 않는 원아(부모)가 거의 없고, 보육교사가 특별활동 신청자를 관리할 수밖에 없는 노동 환경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단체는 또 “보건복지부 지침인 어린이집 특별활동 운영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특별활동은 보육과정 외에 진행되는 활동프로그램으로 외부 강사에 의해 어린이집 내·외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므로, 모든 어린이집이 반드시 특별활동을 운영할 필요는 없고, 어린이집 운영 상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운영하면 된다.’고 명시돼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7세 미만 유아의 경우 생애주기 특성상 낮잠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점심시간을 전후로 실시되는 특별활동이 이 시기의 성장 특성과 배치되는 것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단체는 “특별활동비 및 특성화교재비는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정한 상한선이 있는데, 광주시의 경우 특별활동비 월5만5천원, 특성화교재비 월4만 원 이상 거두어둬서는 안 된다”면서 “그런데 대다수 어린이집이 약속이나 한 듯 상한선에 맞춰 특별 활동비를 결정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가계지출 부담이 커져 정부가 보육료를 지원하는 취지도 훼손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단체는 “부모 및 원아의 선택에 따라 특별활동을 신청할 수 있도록 정규 보육시간외 오후 4시 이후로 변경해야 하며, 보건복지부 지침에 따라 미신청자를 위한 대체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도 감독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학벌없는사회는 이 같은 피해사례에 대해 조사해줄 것을 국가인권위원회에 요구하고 영유아보육법에 따른 시행규칙 등 법률 개정을 통해 원아의 건강한 성장과 특별활동의 올바른 선택이 이뤄질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권고할 것을 촉구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