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내버스 준공영제의 근본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광주시의회 박미정 의원은 17일 시의회 임시회 시정질문을 통해 “시내버스 준공영제 하에서 시민의 혈세로 메우는 시내버스 재정적자의 주요 원인 광주지역에서 운행하며 1년에 약 300억씩 수익금을 챙겨가는 전남지역 농어촌버스”라고 지적하며 향후 시·도지사협의회에서 논의를 통한 제도 개선에 나서줄 것을 요구했다.
또 박 의원은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운영하는 위원회에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통로가 없다”면서 “정책 수립부터 심의·의결까지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공적기구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박 의원은 ▲시내버스 운전노동자의 복지 처우개선을 위한 실태조사 ▲광주대중교통활성화 마스터 플랜 수립 ▲시내버스 준공영제 관련 조례 제정 ▲교통카드 장기미사용 선수금 이자와 교통시설개선기금의 취약계층 바우처 사업에 활용 ▲교통카드수수료 인하를 위한 행정 등을 제안했다.
박미정 의원은 “시민이 느낄 수 있는 행복한 대중교통체계를 만들기 위해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투명한 재정 운영과 더불어 시내버스 종사자의 처우개선, 교통복지 사업 등 근본적인 개선을 통해 준공영제의 혁신을 이루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