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후원하기
  • 인쇄
  • 전송
  • 보관
  • 기사목록
  • 오탈자제보

BNK금융경영연구소 "내년 동남권 경제성장률 2.7% 전망"

지역별로 부산 4.5%, 울산 2.0%, 경남 1.9% 성장 예상

  •  

cnbnews 최원석기자 |  2015.12.03 17:57:39

BNK금융그룹(회장 성세환) 산하 BNK금융경영연구소가 '2016년 동남권 경제전망'에 대한 연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외 경제성장률 확대에 힘입어 동남권 경제성장률은 금년 1.5%(추정치)에서 2016년 2.7%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로는 부산의 경우 2016년 4.5% 성장하여 금년과 거의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보이고 울산 및 경남의 성장률은 각각 2.0% 및 1.9%로 금년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의 경우 자동차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주력업종이 2016년에도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최대 주력업종인 조선업은 2013~2014년 수주량을 고려할 때 생산이 증가세로 반전될 것이지만 전세계 물동량 대비 25%정도인 선복량 초과공급 상태의 지속으로 수주전망은 밝지 못할 전망이다.


석유 부문은 저유가 지속에 따른 수요확대로 소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에너지관리청(EIA), 세계은행 등 주요 전망기관의 2016년 국제원유가 전망(브렌트유 기준 배럴당 56달러)을 고려할 때 저유가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석유화학 부문은 경기여건 및 중국의 석유화학제품 자급률 상승 등을 고려할 때 내년에도 회복이 쉽지 않다고 보았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은 경쟁국 통화약세에도 불구하고 미국 성장세 확대, 유로 등 선진국 경기회복, 중국 자동차 소비세 인하 효과 및 내수회복 등에 힘입어 내년에도 신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철강업 생산은 세계 철강수요의 저조한 신장세, 중국의 내수 부진에 따른 저가물량 공급확대 등으로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중국 철강업체 구조조정 및 중국정부의 일대일로(一帶一路) 등 인프라 확대는 긍정적 요인으로 보았다.


기계업의 경우 건설기계는 전세계 수요의 26%를 차지하는 중국 수요 위축 등으로 부진할 것으로 보았다. 엔진부품 및 공작기계도 자동차 산업을 제외한 전방산업 경기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중국 과잉설비 및 엔저 등이 지속되면서 생산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았다.


BNK금융경영연구소 백충기 수석연구위원은 “당분간은 조선, 철강 등 주력산업의 과잉공급이 해소되기 어려울 것이지만 중국경제가 6%대 중반의 성장세를 달성한다면 내년중 동남권 경제활동은 서비스업 등의 개선으로 금년보다는 다소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CNB=최원석 기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