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곤기자 |
2015.11.13 18:42:02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는 13일 경기연구원에 대한 2015년 행정사무감사를 실시했다.
김호겸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사회적약자인 장애인과 농업인에 대한 연구 실적이 부족함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농업은 산업의 기초를 이루는 아주 중요한 산업이라며 경기도의 농업관련 예산은 전체예산에 1.3%에 불과하고 전국 지자체 평균 15%인 것에 비해 상당히 적다고 말하며 미래 먹거리산업인 농업에 대한 제대로 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임해규 경기연구원장은 "농업관련 연구는 도시농업, 귀촌·귀농, 6차산업 등 연구활동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 연구원 차원의 관련 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재순 도의원(새누리)은 지난 10월 국정감사 당시 경기연구원이 만성적인 적자에도 불구하고 직원들에게 과도한 성과급을 지급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입장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지난 달 일부 언론은 국정감사 자료를 근거로 경기연구원이 지난 2014년 19억 원의 영업손실에도 불구하고 직원 1인당 4309만 원의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며 이는 국내 30대 공기업 1인당 평균 성과급의 3배 수준에 달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임해규 경기연구원장은 "국정감사 중에 직접 지적된 사항이 아니라서 사후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웠다고 밝히며 경기연구원의 급여체계는 기본급과 성과급으로 나뉘는 능력급제이고 연구 성과에 따라 0%에서 200%까지 차등적으로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어 실제 1인당 성과급으로 따지면 공기업 평균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임 원장은 또 "경기연구원의 지속적인 영업손실 원인은 도가 연구원에 별도의 자금을 출연하지 않고 기금에서 자금을 충당토록 하여 불가피한 면이 있다고 설명하며 지난 추경에서 확보한 예산을 통해 영업손실분을 보전하겠다"고 해명했다.
박 의원은 "언론 보도 당시 경기연구원이 지금과 같이 적극적으로 해명하지 않은 것은 경기도의 이미지를 실추시킴은 물론 연구신뢰성에도 악영향을 끼쳐 도민에게도 피해를 준다고 지적하면서 잘못된 언론 보도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 시스템을 갖출 것"을 주문했다.
안혜영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연구원들 57명 중 46명에 달하는 연구원들이 대외활동을 한것으로 나타났다며 최고의 인재들이 외부에서 인정받는 것은 한편으로는 자랑이지만 과도한 대외활동은 자제해야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CNB=이병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