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후 서울 장충동 한국자유총연맹이 개최한 ‘제4이동통신사업 추진 계획 발표’ 기자회견에서 허세욱 회장이 사업 추진 이유와 향후 계획을 밝히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한국자유총연맹이 주관하는 한국자유통신(KFT) 컨소시엄은 25일 오후 서울 장충동에 위치한 자유총연맹 자유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4 이동통신 추진 계획을 공개했다.
자유총연맹은 제4 이동통신 사업을 추진하게 된 이유로 ▲휴대전화 반값 요금 실현 ▲단말기 가격 70% 이하 인하 ▲통신산업·국민경제 기여 등을 들었다.
통신방식으로는 국내 이동통신 3사가 사용중인 주파수분할 LTE(LTE-FDD)가 아닌 시분할 LTE(LTE-TDD) 방식을 적용할 예정이다.
정부의 자금지원을 받는 비영리단체인 자유총연맹은 직접 투자나 사업을 전개할 수 없기 때문에 주관 역할만 맡고, 사업의 실제 추진은 자유총연맹의 출자회사인 국민에너지관리사업단이 맡게 된다.
김종현 한국자유통신 재무·사업·관리 부회장은 “지금까지 많은 준비를 해왔기 때문에 다음 달 중에 미래창조과학부에 관련 서류를 제출할 것”이라며 “참여 대상 기업들이 여럿 있지만 아직 밝힐 수 없는 것을 양해해달라”고 말했다.
한국자유통신컨소시엄의 대표인 허세욱 회장은 “한국자유통신은 자유총연맹 150만 회원과 회원기업이 주축이 돼 중심주주를 구성했다”며 “최초 자본금 1조원 조성은 이미 끝났고, 올해 안으로 사업 허가를 받으면 증자를 거쳐 2조원 자본금으로 시장에 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공개한 증자 계획에 따르면 대기업·중견기업·중소기업·연기금 등이 각 5∼15%씩 도합 70%의 지분 투자를 하게 되며,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공모해 20%의 지분을 구성한다.
또 기술개발단·법무단·평가단·발기인 등 기여자 40∼50명에게 도합 10%의 지분(1000억원 상당)을 무상배정하기로 했다. 기여자 수를 50명으로 잡을 때 1인당 20억원 내외다.
▲25일 한국자유통신컨소시엄이 출범 기자회견을 열었다(사진: 연합뉴스)
갑작스러운 자유총연맹의 제4 이동통신 설립 계획이 알려지자 업계는 “뜬금없다, 황당하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통신산업과 무관하고 정치성향이 뚜렷한 단체가 이통시장 진입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그간 KMI가 여섯 차례나 사업계획서를 내며 기술적 능력을 인정받았음에도 재정적 능력에서 기준점 이하로 불발했던 경험을 토대로, 자유총연맹의 시도 역시 초반에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하지만 자유총연맹은 이 부분에서 낙관하고 있다. 한국자유통신 추진본부 김대현 본부장은 CNB와 통화에서 “KMI는 재정 문제로 좌초했지만, 우리는 그 문제를 해결했다”고 강조했다.
KMI의 자본금은 8000억원에 불과했지만, 한국자유통신컨소시엄은 이미 자본금 1조원을 확보한 상태다. 하지만 자본금 8000억원의 KMI를 탈락시킨 미래창조과학부가 1조원을 확보했다해서 합격시킨다는 보장도 없다.
자유총연맹에 우호적인 기업들의 증자 참여가 가시화되면 목표치인 2조원 확보도 가능할 수 있지만 아직은 이와 관련 참여 의사를 밝힌 기업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통산업에 정치 논리가 개입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상존한다. 이에 대해 김 본부장은 “제4 이통사가 설립되면 사업 진행의 모든 과정에서 어떠한 정치성향도 드러내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여전히 우려의 소지는 남아있다. 자유총연맹이 한국의 대표적인 보수단체이기 때문이다. “정치권의 힘을 빌어 이통사업에 우격다짐으로 진입할 것” “연기금의 증자 참여를 언급한 것은 국민연금 등의 참여를 기정사실화한 것” “기여자들에게 1인당 20억원 규모의 지분 부여는 과도한 인센티브” 등 다양한 우려가 언론과 인터넷을 통해 제기되고 있다.
(CNB=정의식 기자)
3사가 해처먹는꼴 이제 못보겠다